[새는 병 밖에 있다!]라는 순간 봉황을 봤다

출처: 가촌 명상문답  2007.09.22.
 
<문> 저는 깨달음, 일별(一瞥)이라는 단어에 큰 매력을 느낍니다.
저는 깨닫지는 못 했어도 일별은 한 것이라고 자부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사실 저는 일별의 경험을 말하라고 하면 이렇다하게 사례를 들 수 없습니다.
일별이란 캄캄한 밤길을 번개 치는 순간 펀 듯 보듯 진리를 맛보는 것이라는데요.
샘께서는 일별의 경험을 어떻게 설명하여주실 수 있으신지요?

<답> [일별이란 캄캄한 밤길을 번개 치는 순간 펀 듯 보듯 진리를 맛보는 것이라는데요.]
그렇다.
그런데 그 표현은 비유다.

샘은 오쇼(라즈니쉬)의 책을 읽으면서 자주 일별했다.
그 일별의 경험 중 하나를 구체적으로 소개하련다.
주둥이가 좁은 유리병 안에 갇힌 큰 거위의 상황, 그것은 허구(虛構)라는 설득을 받는 순간 샘에게는 일별, 즉 순간 동안의 깨달음이 일어났다.
샘이 일별한 것은 봉황(자유)이다.

‘주둥이가 좁은 유리병 안에 갇힌 큰 거위의 상황.
그 운명적 질고를 도저히 부정할 수 없다.
엄연한 현실이다.

그러나 엄연한 현실도 그 본질은 허구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현실은 자기의 내면을 투사하고 그것을 인지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즉 내면 구조가 다르면 현실감(투사)도 그만큼 다르게 마련이다.

[샘이 일별한 것은 봉황이다.]
샘이 일별한 것은 자유로운 봉황일 수밖에 없다.
봉황은 새 중의 새, 새의 황제(皇帝)가 아닌가?

새는 날개를 가졌기 때문에 ‘녹슨 철조망’ 그 오랜 국토 분단의 현실에도 구애받지 않는다.
새는 자유롭다.
그 자유로운 새 중에서도 가장 지존(至尊)한 새는 봉황이 아닌가?

그러나 거위는 날지 못하고 뒤뚱거리며,
짓궂은 개에게 쫓기기 일쑤인 신세다.
그러다가 안전한 병속으로 피해 들어갔고,
이젠 너무 비대해져서 병의 좁은 주둥이를 통해서는 고이 나올 수 없다.

모든 새는 봉황인 셈이었지만,
날개를 발달시키지 못하고 병속으로 은신하면서
거위로 전락하고 만 것이다.

그런데 샘이 방심하고 있는 순간 오쇼가 툭 치면서 [새는 병 밖에 있다!]라고 귀띔하는 순간 샘은 봉황을 봤다.
즉 일별이 일어났다.

닮은 우주

새로운 화두가 생겼다.
‘닮은 우주(프랙탈)’

이 역시 갑자기 떠오른 화두로 우주의 삼라만상이 닮아 있다는 전제 – 아니 사실이다 -에 기반한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우주의 닮은 사물간에
에너지 교환 내지는 공조(Synchronization) 현상이
분명 있을 것이란 가설을 세워 본다.

한글의 자음은 천지인, 도형으로 말하면 원(圓),방(方),각(角)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ㅇ’,’ㅎ’은 원, ‘ㅁ’,’ㅂ’등은 땅 그리고 ‘ㅅ’,’ㅈ’,’ㅊ’은 사람.
(○), (□), (△)은 모든 도형의 기본이기도 하다

한판고륜 선생에 따르면 이 형상과 그러한 형상을 가진 이름이 성격,질병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한다.
도대체 글자(혹은 음파)와 인간의 운명과 무슨 관계가 있다는 말인가?
과학적인 사고로는 도무지 말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가 머리로 헤아리지 못하는 뭔가가 있을 것이다.

하나를 가르쳐 주면 열을 안다는 소위 ‘천재’라는 이들도 우주가 ‘닮은 우주’가 아니라면 하나 이외는 알 도리가 없을 것이다. (아니면 전생의 기억에 의존하는 천재도 있을 것이다.)

‘닮은 우주’란 그와 같이 아직 알려지지 않은 메카니즘을 깨닫기 위한 화두이다.
만일 그것을 깨닫는다면 실상활에 응용을 할 여러가지 방법들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미래를 예측하거나 숨겨진 것들을 알아내거나…

이 화두를 화두함에 넣어두고 얼마나 열심히 정진하느냐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답들을 얻게 될 것이다.

a letter from spiritual master, Burt Goldman

오늘 아침 친구 – 나한테 친구란다. ^ ^ – 버트 골드만으로부터 이메일 한통이 날아 왔다.
내가 한 동안  접어 놓았던 이야기를 한다.  Spiritual Master가…

 “The Mind Can Shape Reality”

대흠.
*——————————————————
Ss, take a moment to pause.

Consider these:

A Fortune 500 female board member that sits silently through meetings
… sheds her intimidation and now they can’t keep her quiet.

A long-time diabetic hindered with daily insulin injections
… assumes control of his appetite and reduces his blood-sugar level 25%.

An aspiring director already experienced in meditation
… focuses his control to manifest his dreams into reality and lands his first film deal.

Confidence.  Health.  Achievement.

Are you controlling them all?

These three people consciously construct their future.

They are guided by values and desires of their
choosing… not Society’s.

Their inner Spirit actively controls their habits,
emotions, and even their fears.

They started at different levels of understanding, but arrived
at the same place – Self-Mastery.

They maintain control on 2 levels:

1. Consciously identifying their dreams. Then realizing what’s
holding them back.

2. Training their unconscious to focus every action – all of
their energy – towards attaining those dreams.

Ask yourself: “Is my current lifestyle actively taking me towards my dreams?”

http://mail.theamericanmonk.com/cgi-bin/arp3/arp3-t.pl?l=70&c=518159

If it isn’t, it is time to examine why.

http://mail.theamericanmonk.com/cgi-bin/arp3/arp3-t.pl?l=70&c=518159

Your Friend,
Burt Goldman
The American Monk

PS – Self-mastery is closer than you think. Visit this link today:
http://mail.theamericanmonk.com/cgi-bin/arp3/arp3-t.pl?l=70&c=518159

To unsubscribe and stop receiving lessons, visit this link:
http://www.goldmanmethod.com/online/subscriptions/update/?email=between9@gmail.com


유원지에 놀러 갔는데…

집사람과 유원지에 놀러 갔는데 입구에서 왼쪽으로 길을 따라 가고 있었다.
유원지 보다는 좀 야생적인 장소.

멀리 높이 1~200 미터 정도의 언덕 꼭대기 절벽위에 회백색 암벽 위에 석가불상을 만들어 놓았는데 자세히 보니 두어명의 사람이 위태롭게 불상 암벽을 등반중이었다.

유원지를 왼쪽으로 돌면서 여러 곳들을 보았는데 기억 나는 건 두어개 정도.

다음은 사람 두 명이 간신히 지나 갈 언덕길이 산으로 나 있는데 왼쪽은 낭떠러지, 거기다가 언덕길은 낭떠러지 쪽(왼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어 자칫하면 추락할 위험이 있다.  올라갈 엄두가 나지 않는다.

낭떠러지 옆은 둥그런 호수가 있는데 물이 없어 바닥이 거의 드러나 있다.  바닥은 논이다.

대흠.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 …

요즘 일들이 기대와 다르게 어긋나기 시작하면서 힘이 좀 부친다.
나의 기대와 소망대로 일이 풀리지 않으니 좀 당황스럽고 신념체계가 무너지지 않을까 걱정도 된다.
욕심과 그에 따른 걱정이 너무 커서 심리적 부담이 컸던게 원인 아닐까?
아님 이 원리/방법 자체가 어떤 제약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등등..
쥐고 있던 것을 놓고 좀 더 자유스러워져야 할 것 같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 위해 꿈조절을 하고 있다.

b4known, Before Known

–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는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가 되고 싶다.

*^^*——————————–

이 시는 이름이 붙여진, 의미를 갖게 된 꽃에 대해 말하고 있다.  하지만 ‘Before Known’은 꽃에 이름이 붙여지기 이전, 관념이 형성되기 이전의 원초적 생명, ‘몸짓’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BSC(Balanced Scorecard) 사례집을 읽다가 문득 ‘기업’이란 관념적 개체가  실체적 존재로서 느껴졌다. 마치 어느날 거실에 누워있던 아들 놈의 배가 호흡을 하느라 움씰대는 것을 보는 순간  나의 아들이자 ‘장oo’란 이름을 가진 아이가 아닌 호흡을 하고 있는 하나의 생명체로 느꼈던 것 처럼.

기업이나 조직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관념적 작업도 중요하지만 기업을 마치 나의 몸처럼, 호흡을 하는 하나의 생명체처럼 느끼는 것은 관념적 작업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다. 기업에서 ‘통합(Integration)’이란 이름으로 여러가지 일을 하는데 이것은 기업을 가장 이상적인 조직인 ‘유기체적 실체’로 진화시키기 위함이다.

직관적 인식을 바탕으로 그 위에 관념적 작업을 더할 때 훨씬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이것이 바로 로라 데이가 그녀의 저서, ‘직관의 테크닉’과 ‘ Business Intuition for Success’등 에서 강조하는 바이다.

느낌이 가장 먼저 오고 그 다음 생각이나 관념이 일어난다. 직관이란 이러한 관념이 일어나기 전의 일이다.  석지현 스님도 ‘마하무드라의 노래’란 라즈니쉬의 번역서에서 가장 먼저 오는 것이 느낌인데 이 느낌이 중요하다.’ 라고 말한 것이 기억난다. (20여년 전에 읽은 ‘탄트라 비전’에 관한 라즈니쉬의 강의를 책으로 엮은 것으로 내용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나에게 결정적 영향을 미친 책이다.)

오늘 아침 얻은 이 느낌으로 인해 그동안 변죽만 울리던 나의 작업에 한 단계 진전이 있을 것 같다.

대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