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氣導) 수련기 – 몸의 변화

기도(氣導) 수련기 – 몸의 변화

평창동 성영주자연치유원에서 바라본 산아래 동네

평창동 성영주자연치유원에서 바라본 산아래 동네

지난번 수련기 이후 3, 4, 5차 수련을 마쳤습니다. 수련에 따른 현상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명현[瞑眩] 현상

2차 수련에서 왼쪽 턱 아래(임파선 부위?) 약간의 통증이 있었지만 3차 수련 다음날 2,3일간은 잇몸 통증이 심해지면서 새벽 4시까지 잠을 잘 수 없었습니다. 2년전 쯤에 당뇨가 심해지면잇몸 염증도 생기고, 어떨 때는 염증은 없었던 것 같은데 심한 통증으로 인해 잠을 잘 수 없었던 경우가 몇차례 있었습니다. 차가운 물을 머금고 있으면 통증이 가라 앉아 밤새 물로 통증을 다스리느라 밤을 꼬박 새운 기억도 있습니다. 그 뒤 잇몸 통증은 일어나지 않았는데 이번에 수련을 하면서 그때와 같은 심한 통증이 일어났습니다. 명현반응이라 긍정적으로 받아 들이고 계속 관찰한 바, 매주 금요일 수련을 하고 나면 다음 2, 3일간 잇몸 통증 등으로 몸이 힘들어지다가 주중을 거치면서 다시 금요일을 맞을 때면 통증은 사라지고 몸은 여러가지로 점차 좋아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PS. 그저께, 어제 그리고 오늘(5월28일) 새벽까지 잇몸의 통증으로 잠을 제대로 잘 수가 없었습니다. 막연히 명현 현상이겠거니 생각하고 꾸욱 참고 지냈는데, 화요일 수련 받으러 원장님 찾아가 물었더니 명현은 수련 중에 잠깐 일어난다고 하시면서 제가 앓고 있는 잇몸 통증은 명현이 아니랍니다. 까마귀날자 배 떨어진 격인가요? ㅎㅎ 원인은 모르겠으니 어딘가에서 잇몸 신경을 건드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좀 아쉽긴 하지만, 원장님은 수련을 계속하면 잇몸 조직이 치밀해져 나중에는 좋아질 것이라 하십니다. 아무튼 수련은 계속 됩니다. 🙂  2014년 5월 29일 by 대흠.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

아직 갈 길이 많이 남았지만, 명현반응과 함께 그동안 몸에서 일어났던 여러가지 호전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변의 변화 십여년 전에 팔체질 한의 치료 받으면서 알게 되었는데 건강한 사람의 대변은 황금 색깔을 띄면서 굵고 길게 한번에 주욱 빠진다고 합니다. 수련 후 명현현상으로 통증이 지속되긴 했지만 대변은 수련기간 내내 거의 건강한 상태로 보았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였습니다. (아마 수련 중 복부가 회전 진동을 하는데 이게 장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걸로 생각됩니다. 물론 장이 그만큼 망가져 있었단 얘기도 되겠지요.)
  • 얼굴색 수련 지도하시는 성영주 원장님도 그렇게 말씀하셨지만 제가 보기에도 얼굴이 건강한 상태로 변했습니다. 명현반응이 심할 때 얼굴이 다소 어두워졌던 날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 수면 수련 전에는 새벽 2-4시 사이에 잠이 깨곤 했습니다. 한번 깨면 다시 잠이 들기 힘들어 뒤척이다가 잠을 설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수련 이후로는 거의 잠을 깊게 오래 잘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잠이 부족하면(6시간 이하) 보통 다음날 오후에 심한 피로감이 찾아 왔는데 그런 것도 많이 좋아진 것 같습니다. 30대 때 하루 4시간만 자야겠다고 마음을 먹은 적이 있었는데 당뇨가 심해진 이후에는 며칠 잠을 부족하게 자면 어김없이 잇몸에 염증이 생겼습니다. (염증이 심해지면 이가 빠지게 되죠.) 이건 뒤에 몸이 완전한 상태로 돌아오면 실험을 해볼 생각입니다. 하루 다섯 시간 자고 매일 두 시간을 자기 계발에 투자하고 싶은 욕심이 있습니다. 이게 쌓이면 엄청난 효과를 발휘할 것입니다.
  • 시력
    최근 몇년 사이 시력이 많이 떨어져서 당뇨 합병증 아닐까 하는 우려가 있었고 전에는 눈이 쉬 피로해져서 책을 오래 읽기가 어려웠는데 수련하면서 눈의 피로도 많이 사라진 것 같고 시력도 좋아진 느낌입니다. 양방에서는 당뇨 합병증으로 망가지 눈은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원장님은 그런 것도 수련으로 치유가 된다고 하시네요.
  • 피로감
    피로감을 느끼는 데는 여러가지 변수가 개입이 되겠지만, 잠을 잘 자서 그런지 오후나 퇴근 후에 피로감이 많이 사라진 것 같습니다.
  • 기감(氣感) 수련이 거듭될수록 기에 대한 감각이 깨어나면서 좋아질 것이라 생각을 합니다. 제 경우 기감을 테스트하기 가장 좋은 신체 부위는 손바닥(掌心, 장심)입니다. 10여년 전 단학 수련과 2년 전 기공 명상하면서도 장심에 기감이 좀 느꼈는데, 이번 수련하면서 장심의 기감이 강해진 걸 분명하게 느낄 수 있었습니다. 손을 꺾어 손바닥이 땅을 향하게 하여 땅의 기운을 느껴보면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땅의 기운이 강하게 올라오는데 나중에 기운의 분별만 가능해진다면 수맥을 감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수련 중의 변화

원장님이 처음에 얘기 하시길 매번 수련할 때마다 진동이 달라지는 걸 느낄 것이라 했는데 정말 그런 것 같습니다. 처음엔 주로 팔의 진동에서 시작하여 안면 근육에 진동이 일어나고 혀가 움직이면서 잇몸을 마사지 한다든가, 복부에서 회전 운동이 일어나고, 손이 몸을 따라가며 두드린다든가, 이전에는 팔이 파르르 떨면서 빠르게 회전을 하거나 하면서 진동이 일어났는데 어제 5차 수련 때는 팔에 힘이 들어가면서 마치 무술 동작의 초식과 같은 자세로 손이 움직였습니다. 손바닥은 얼굴과 머리 전체를 두드리는 진동을 하고요…   지금도 어제 수련의 여파로 잇몸 전반에 약간의 통증이 남아 있는데 오늘 밤 그리고 내일 더 심해질지 아니면 그냥 좋아질지 모르겠습니다. 몸이 가는대로 맡겨 보겠습니다. 🙂  앞으로 계속 이어질 수련으로 망가진 몸의 균형이 바르게 잡혀가면 수련시 진동의 양상도 계속 달라질 것이고 몸에 여러가지 긍정적인 변화도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면서 두번째 수련기를 마칩니다.

-대흠-

 

기도(氣導) 수련기- 프롤로그

일주일에 한번 성영주자연치유원을 방문해서 기도(氣導) 수련을 합니다. 지난 4월 18일 첫 수련에 이어 지난 주 금요일(25일)에 두번째 수련을 마쳤습니다. 1시간 가량의 수련 시간 동안 일어났던 일들을 정리해봤습니다.

기도(氣導) 수련이란?
나의 수련법은 기도(氣導)라고 부른다. 즉, 기의 세계, 깨달음의 세계로 이끈다는 말이다. 나의 수련법에 거창하거나 뭔가 좀 있어 보이는 이름을 붙이지 않고 그저 기도라고 부르는 데는 이유가 있다. – 성영주 원장


첫날과 마찬가지로 수련 시작에 앞서 원장님으로부터 복부와 엉치뼈 그리고 등과 목의 기운을 바로 잡는 마사지를 받았습니다. 이 시간은 원장님에게 질문도 하고 이런 저런 대화도 나누는 시간입니다. 원장님의 마사지는 특정한 위치를 보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손의 자발적인 움직임에 맡기는 것이라 합니다. 가야할 자리를 손이 알아서 가는 것이죠.

복부는 호르몬이 생산되는 곳이고 엉치뼈 부위에서는 골수가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비만에 대해 이야기 하는데 인체 장기 중에 회장(回腸) – 소장은 십이지장·공장(空腸)·회장(回腸)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회장은 소장의 가장 뒷부분에 위치함 – 에 기운이 정상적으로 운행이 되면 자연스럽게 음식을 과하게 섭취하지 않게 되어 식탐이 사라진다고 합니다. 비만이 장내 기의 흐름이 정상적이지 않아 생기는 것으로도 볼 수 있겠네요. 물론 심리적인 요인도 있겠지만요.

기수련은 우리나라의 전통 선도(仙道)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몸공부가 공부의 시작이라고 들은 기억이 납니다. 몸공부와 마음공부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기 수련을 하는 요즘에는 몸공부가 우선이 되어야, 즉 몸이 건강해야 마음공부도 제대로 될 것이란 생각을 하게 되는군요. 참선에도 기수련이 도움이 된다는 어떤 스님의 얘기도 있었지요.

공부는 몸으로 하는것이라는 이야기를 예전에 귀에 박히도록 들었는데, 몸으로 시작하여 마음으로 돌아왔다가, 이제 다시 몸으로 돌아와 몸과 마음과 기운이 하나 되는 공부로 돌아간다.
출처: 몸으로 하는 수련

본 수련은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좌정한 채 원장님과 손바닥을 마주하고 기를 받는 것으로 시작 되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 수련은 단순하고 동일한 과정이 반복되는데 매번 느낌이 다를 것이라 말씀하신 원장님 얘기가 생각이 떠올라 집중에 방해가 되더군요. 그런 생각 때문인지 한동안 손의 움직임이 더뎠는데 조금 뒤에 얼굴 쪽에서 진동이 시작되었습니다. 얼굴을 펴졌다가 찌그러졌다가 입이 좌악 벌어졌다가 오므라들고 콧구멍에서도 확장과 수축이 일어났습니다. 잇몸이 좋지 않다는 생각을 하는 순간 잇몸에도 진동이 일어나는 것 같았습니다. 이런 얼굴을 누가 본다면 무척 흉칙했을 걸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어서 팔에 진동이 오기 시작하면서 앞뒤로 좌우로 팔이 강력하게 요동을 치다가 회전도 하고, 허벅지도 후들후들 진동을 일으키며 바닥을 치며 소리를 냈습니다. 앞에 앉아 수련하는 분에게 방해가 될 것이란 생각이 잠시 들었습니다. 그런 다음은 전혀 예상치 못한 복부에서 진동이 일어났습니다. 뱃속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360도 회전을 합니다.

원장님은 몸 상태가 좋아지면 진동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합니다. 모르는 분들은 진동을 하면 신기하게 생각할텐데 진동이 일어난다는 것은 몸이 그만큼 탁하단 얘기고 그런 몸을 정화 시키는 현상일 뿐 별 대단한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처음엔 진동이 일어나길 기대했는데 이젠 언제 진동이 사라질 것인가를 생각합니다.

얼굴이 진동으로 일그러지는 동안에 6,70년대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락 그룹인 킹 크림슨(King Crimson)의 앨범 표지가 생각 나더군요. 아마 이 사진보다 더 흉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

제가 좋아하는 음악입니다. I talk to the wind.
바람에 말을 걸지만 바람은 인간의 말은 이해하지 못합니다. 바람, 영혼과의 대화는 오직 느낌으로만 할 수 있습니다.

 

PS. 작년에 당뇨로 잇몸이 상하면서 몇차례 겪은 통증인데 심할 경우 잠을 잘 수 없었습니다. 몸이 좋아지면서 통증은 재발되지 않았는데 수련 다음날 예전처럼 심하진 않았지만 잇몸 통증이 다시 시작되더군요.  그러나 저는 이걸 일종의 명현현상일 것이라 생각하고 경과를 지켜보았는데 통증이 점차 약화되면서 며칠 뒤에 저절로 낫더군요. 수련시 안면과 잇몸의 진동 결과로 일어난 것 아닌가 짐작합니다. 몸이 좋아지는 가운데 상태가 일시적으로 나빠지는 명현현상에 대해서는 한의학, 자연의학, 기의학 등과 양의학 간의  의견 차이가 있는데 아래 링크에서 명현현상을 자세히 설명했으니 참고하시고 각자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PS2. 5월 29일. 원장님에게 물었더니 명현현상은 아니라 하시네요. 기도 수련의 명현 현상은 수련 중에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진다고 합니다. 그 뒤로도 계속 통증이 생기면서 어제와 그저께 밤에도 통증으로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했습니다. 그나마 원장님이 그럴 때 진통제를 먹는 것이 현명한 처신이라 하시면서 타이레놀을 주셔서 그럭저럭 견딜만 했습니다. 오늘부터 좋아지는 느낌입니다만… 좀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일단은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 현상으로 해석을 합니다.ㅎㅎ 원장님은 게속 수련하면 잇몸 조직이 치밀해지면서 좋아질 것이라 하십니다. 저는 믿고 따를 뿐… 🙂

명현현상 – 다음 지식

 

성영주자연치유원 방문기

성영주자연치유원 방문기

4월 13일 일요일에는 정신세계원 송순현 원장님따라서 평창동 성영주자연치유센터(영진운기수련원)를 방문했습니다. 점심 식사 후 성영주 원장님은 평창동 투어 가이드도 해주셨습니다. 참 아름다운 동네더군요. 멋진 집들도 많고… 윤종신 까페에도 들러 차 마시고, 서태지, 손석희 사는 집도 보았습니다.

KakaoTalk_07c24c8443a96cccKakaoTalk_91c7e91d4a7a5215

마지막 코스로 수련원에 갔습니다. 약간의 대화가 끝나자 원장님은 마루에 누우라고 하더니 복부와 등, 목 부위를 마사지로 기운을 잡은 다음 30분 가량 氣導 수련으로 안내를 하셨습니다. 예상치 못한 일이라 다소 혼란스러웠지만, 이왕 하는 거.. 하고 집중하기 시작했습니다. 손바닥을 서로 마주 대한 상태에서 원장님은 기를 불어 넣었습니다. 미세하게 어떤 느낌이 손으로 전달되는 것을 느꼈습니다. 손이 움직이는대로 따라 가라는 원장님의 지시에 따라 천천히 그 움직임에 따라 다녔습니다. 그러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서 팔과 다리에서 강력한 자발공(진동)이 일어나더군요. 전에 단학선원 다닐 때 자주 경험하던 일인데 그것과는 다른 것이라 합니다.

KakaoTalk_1706ab79e3b013cf

손바닥을 마주하고 기를보내는 성영주 원장

KakaoTalk_a5d79096e57ac4a2

백가지 혈이 모인 자리라고 하는 백회혈에 기를 넣고 있는 성영주 원장, 제 손은 기의 움직임에 천천히 이끌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신기한 건 그날 저녁 집에 들어와서 였습니다. 몸이 전혀 피곤하지 않더군요. 토요일은 아버님 묘소 다녀오고 일요일도 종일 바깥에서 시간을 보낸터라 평소 같으면 월요일에 대한 샐러리맨의 불안감으로 쉬어야겠다는 생각이 앞서는데 왠지 그런 생각이 전혀 일어나지 않고 저녁 설겆이에 쓰레기 분리수거 등 밀린 주말 일과까지 마쳤습니다. 잠도 푹 잤고 오늘 아침까지 기분이 이어지네요. 평상시 아침에 일어나면 올라오는 가벼운 부정적인 감정도 일어나지 않앗습니다. 기운이 좋아지면 일어나는 변화죠. 그러면서 한편으론 그동안 피로에 쩔어 있었던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유쾌한 경험이었습니다. 디폴트로 깥린 부정적인 코드를 제거하고 대긍정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길 기대해봅니다.

KakaoTalk_c074488ac973b344

성영주자연치유센터 마단에서 한 컷. 왼쪽부터 정신세계원 송순현 원장님, 성영주 원장님, 앞에 둘째 손녀 래희양, 그리고 내과의사 닥터 황, 큰 손녀 예리양 그리고 저 대흠입니다. 큰 삽살개 이름은 곰이랍니다.

위 사진 속의 닥터 황은 내분비계 내과 의사입니다. 원장님이 페이스북에서 가끔 언급을 해서 알고 있었는데 이날 수련을 와서 만날 수 있었습니다. 그녀는 아토피 환자였는데 스스로 공부해 치료를 해보겠다고 의사가 되었다고 합니다. 요즘 아토피는 어떠냐고 물었습니다. 아직 조금 남았는데 병원의 낡은 X-레이 기기와 필름 등에서 나오는 방사선에 늘 노출이 되어 살기 때문에 완전히 낫진 않았다고 하는군요. 그녀는 의학적 지식을 조사해서 원장님이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신체의 작용과 대조해보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성원장님이 페이스북에 올린 닥터 황의 수련기입니다.

 

 

참선에 도움이 되는 기수련

참선에 도움이 되는 기수련

참선
요즘 페이스북 친구인 성영주 원장님이 귀한 수련기를 계속 올려 주시는데 내용이 버릴 게 없이 좋습니다. 기수련이 스님들 참선하는 데도 도움이 많이 된다고 합니다. 참선 중에 떠오르는 망상이 줄어드니 더 오랜 앉아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재미난 건 뒷 부분에 원격으로 기를 전해주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 분야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공간을 초월해서 기를 보내는 건 특별한 얘깃거리가 아닙니다. 이전에 티벳 사람의 원격 힐링 시범 서비스를 소개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 사람은 특정 위치의 특정인이 아닌 무작위로 기를 뿌리는 데모 서비스였는데 같은 원리겠죠.
 

아래 링크는 기공 관련 참고 포스팅입니다.
건강 찾고 삶의 지혜 얻은 기 수련기

건강 찾고 삶의 지혜 얻은 기 수련기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아이들에게 주던 벌은 선도의 수련법인 경우가 많습니다. 참으로 현명하신 조상들이죠. 저도 예전에 기수련할 때 아이들 손들고 벌서는 수련, 다른 벌(?)과 함께 한달 정도 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수련을 마치고 가부좌를 틀고 앉았는데 손이 스스로 슬며시 움직이기 시작하더군요. 가는대로 내버려 두었더니 손은 온몸을 돌아다니며 두드리는데 대략 경락을 따라 움직였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당시 지도한 이는 수련의 임계점에 대해 강조를 하지 않았던 것 같아요. 어려움을 꾸욱 참고 간 사람만 그 길로 간거죠. 이정표를 알려 주었으면 좋았을 걸 하는 생각입니다. 성영주 원장님은 수련의 임계점과 그 이후까지 이야기 하시니 동기부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땐 몰랐는데 이런 수련 효과가 대단하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