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에너지와 쿤달리니

자유 에너지와 쿤달리니

리얼리티 트랜서핑에서 말하는 자유 에너지, 생명력에 대해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고 있다.


나는 티벳의 라마승이었다 3부, p118-121

“척수 신경의 맨 가운데 있는 척수인데, 이것은 다른 차원으로 이어지는 대롱으로 되어 있어요. 이것은 쿤달리니라고 알려진 힘이 깨어났을 때 다닐수 있는 대롱이지요. 척추의 맨 끝에는 동양인들이 뱀의 불꽃이라고 부르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생명 그 자체의 자리지요….척추 끝에 감겨 있는 무한한 힘을 가진 뱀과 같은 것인데, 여러 가지 이유로 얼마동안은 갇힌 상태에서 벗어날수가 없어요 이 신비로운 뱀의 형상을 일컬어 쿤달리니라고 하는데 깨우친 동양인일 경우 뱀의 힘이 척수 신경의 통로를 따라 곧장 뻗쳐져서 머리 끝까지 똑바로 올라가서는 마침내 그것을 넘어 아스트랄계로 들어서게 되지요. 그렇게 되면 잠재돼 있던 힘이 각각의 차크라(회음부, 단전, 배꼽, 가슴, 목, 이마, 정수리의 일곱 개 차크라 이중에서 둥북아시아는 하단전과 중단전인 심장 그리고 상단전인 정수리 이 세가지만 강조함)의 중심이 되는 곳을 활발하게 해주지요. 그래서 그러한 몸의 중심(영혼과 육체의 중심기관이 차크라임)들이 깨어나게 되면 그 사람은 생기가 돌고, 힘이 솟고, 정력이 넘치게 되지요. 

뱀의 힘을 완전히 조절할수 있게 되면, 그 사람은 거의 모든 것을 성취할수 있게 되지요. 그래서 산을 움직이게 한다거나, 물위를 걷는다거나, 공중부양, 완전히 닫힌 관속에 갇힌채 있다가 지정된 시간에 다시 나올 수도 있는 등의 기적/초상적인 일을 할 수가 있습니다.(그렇지만 성자들은 그런 일들을 할 이유가 없지요. 아무 의미 없이..)“

출처: 쿤달리니 차크라 나디 나선형구조

 

[트랜서핑 용어] 프레일링

 프레일링은 인간관계의 효과적인 기법이며, 트랜서핑의 필수적인 일부분이다. 프레일링의 주된 원칙은 다음과 같이 공식화할 수 있다. 받고자 하는 의도를 거부하고 그것을 주고자 하는 의도로 바꾸면, 당신은 스스로 사양했던 그것을 얻는다.

당신의 외부 의도는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지않고 그의 내부 의도를 사용한다는 것이 이 원칙의 원리이다. 결과적으로 당신은 내부 의도가 쓰는 기존의 방법으로 얻을 수 없었던 것을 그 사람한테서 얻게 되는 것이다. 이 원칙을 따르면 당신은 개인적인 인간관계나 사업관계에서 놀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트랜서핑 용어] 선택

 

트랜서핑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원칙과 방법을 제시한다. 어떻게 목표를 달성할지를 걱정하지 않고 마치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것처럼 그저 선택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목표가 주문자의 직접적인 행동과는 무관하게 스스로 실현되는 것이다. 당신의 희망은 이루어지지 않고, 꿈은 실현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당신의 선택은 불변의 법칙이며 그것은 필연적으로 실현될 것이다. 선택의 본질을 한두마디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트랜서핑은 선택이란 무엇인지, 그러한 선택을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뿐이다.

출처: 트랜서핑의 비밀

 

[트랜서핑 용어] 펜듈럼

 사념(思念) 에너지는 물질적인 실체이며, 그래서 흔적없이 그냥 사라지지 않는다. 사람들의 집단이 한 방향으로 생각하기 시작하면 에너지 바다에서 그들의 사념의 파도들은 서로 겹치면서 보이지는 않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에너지 – 정보체, 곧 펜듈럼을 형성한다. 이런 구조체들은 독자적으로 발달하면서 사람들을 자기의 법칙에 종속 시킨다. 파괴적인 펜듈럼의 영향을 받는 사람은 큰 기계 치에 부속된 작은 나사같은 신세가 되어 자유를 빼앗기고 만다. 자신의 에너지로 펜듈럼을 충전해주는 지지자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펜듈럼은 더욱 세차게 흔들린다. 모든 펜듈럼은 고유의 특징적 주파수를 가진다. 예컨데, 그네를 일정한 간격(주파수)으로 밀어야 흔들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주파수를 공명 주파수라고 부른다. 펜듈럼 지지자들의 수가 줄어들면 펜듈럼의 흔들림은 잠잠해진다. 지지자들이 다 사라지면 펜듈럼은 흐름을 멈추고 결국 죽음을 맞이한다.

펜듈럼은 사람의 에너지를 빨아먹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감정에 걸려들게 한다. – 분노, 불만, 증오심, 격분, 불안, 근심,위축감, 혼란, 절망, 공포, 동정심, 애착, 황홀, 이상화, 숭배, 감탄, 실망, 오만, 자긍심, 자만, 멸시, 혐오감, 모욕, 의무감, 죄책감 등등.

파괴적인 펜듈럼의 가장 주된 위험성은 그것이 자신의 영향 아래 희생자가 된 사람을 행복을 누리는 인생트랙으로 부터 벗어나게 만든다는 것이다. 사람은 강요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이 가야할 길로부터 멀어지는데, 그러한 강요된 목표에서 해방되어야 한다. 펜듈럼은 그 본질상 ‘에그레고르 egregor’ (심리학이나 은비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염체(念體) 혹은 집단적인 상념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개념이 펜듈럼의 모든 것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다. ‘에그레고르’라는 개념은 사람과 에너지 기반의 정보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전반적인 뉘앙스를 반영해주지 못한다.

 펜듈럼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트랜서핑 용어] 트랜서핑

 트랜서핑이란 단어는 이 책의 저자인 내가 만들어 낸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밖의 모든 용어와 이 책의 모든 내용이 존재하는 그곳으로부터 나에게 떨어져 내려온 것이다. 나도 처음에는 이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었다. 심지어 그것을 어떻게 연상해야 할지도 몰랐다. 이 단어의 의미는 가능태 공간 속을 활주하기’ 또는 ‘잠재된 가능태를 현실로 변환하기’ 또는 ‘인생 트랙을 건너가기’ 라고 해석할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의미에서 트랜서핑은 성공의 물결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뜻한다. 트랜서핑은 영어식으로 발음하고 싶으면 그렇게 하라. ‘예’라는 발음이 없다는 것을 염두에 두면 되겠다.

[트랜서핑 용어] 중요성의 조율

 그 어떤 것에도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지 말라. 당신의 중요성은 당신이 아니라 펜듈럼에게나 필요한 것이다. 펜듈럼들은 중요성의 줄로 사람들을 매달아 꼭두각시 인형처럼 갖고 논다. 사람은 중요성의 줄을 놓기를 겁낸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감과 지지받는 느낌이라는 환영을 만들어내는 ‘의존의 주술’에 사로 잡혀 있기 때문이다.

 자신감은 극성만 반대인 불안의 잉여 포텐셜이다. 깨어 있는 의식과 의도를 지니고 있으면 펜듈럼의 게임을 무시해버리고 싸우지도 않고 당신의 것을 가질 수 있다.그리고 자유를 얻어 싸울 필요가 없게 되면 자신감 따위는 쓸 데가 없다. 자신감의 근원은 중요성, 이 하나뿐이다. 중요성에서 자유로워지면 아무 것도 지킬 필요가 없고 정복할 것도 없다. 그냥말없이가서 나에게 필요한 것들을 선택할 뿐이다.

 펜듈럼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면 내적, 외적 중요성을 거부해야 한다. 목표를 성취하고자 할 때, 중요성의 잉여 포텐셜에 의해서 문제와 장애물이 발생하는 것이다. 장애물은 중요성에 근거하고 있다. 의도적으로 중요성을벗어 던져버리면 장애물은스스로 무너져 내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