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안에서 경험한 몰입(Flow)

지하철 안에서 경험한 몰입(Flow)

어제 출퇴근 중 지하철에서 몰입 상태를 경험했습니다. 이전에도 몰입을 경험하지 못한 바는 아니지만 조금은 특별하게 경험을 했던 것 같습니다. 몰입의 순간이 지금 여기(Here and Now)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과 그것이 행복이고, 해피포켓의 저자 데이비드 기칸디가 만트라처럼 반복하는 기쁨(Joy)이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행복은 돈이나 권력으로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행복은 의식적으로 찾는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철학자 밀은 ‘네 스스로에게 지금 행복하냐고 물어보는 순간, 행복은 달아난다.’라고 말했다. 행복은 직접적으로 찾을 때가 아니라 좋든 싫든 간에 우리 인생의 순간순간에 충분히 몰입하고 있을 때 온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중에서

이런 몰입 상태는 이전에도 자주 경험했습니다만 그 상태를 인지하고 그 경험에 라벨을 붙여 놓았다는 것 역시 이전에 거의 무의식적으로 경험했던 것과는 차이가 작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어제 아침 지하철에서 노트북을 켜고 번역 작업에 몰입하던 중에 일어난 느낌입니다.

월요일 아침은 본디 다소 혼란스럽고 부정적인 것 같다. 주말동안 일을 작은 단위로 쪼개 놓은 것도 수시로 찾아오는 혼란 속에 길을 잃거나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나를 둘러싼 불확실한 환경에 휘둘릴 필요없이 그저 지금 이 순간 내 앞에 주어진 작은 조각에만 ‪#‎몰입‬ 하면 된다. 그러다보면 불안과 혼란은 아침 햇살에 어둠 가시듯 사라져 버린다.

아침 출근길에 이어 퇴근길 지하철에서도 구닥다리가 된 갤노트2의 멀티창에 Adobe Reader와 네이버 사전을 동시에 띄워 놓고 번역 중인 스크립트(Transcript)를 해석하며 잠시 몰입 상태를 경험했습니다.
 갤럭시노트2_MultiWindow

명상으로 얘기를 하면, 몰입은 집중 명상에 가까운 것이라 위빠사나와 같은 통찰 명상과는 외견상 분명 다르지만 어제의 경험으로 볼 때 양자가 똑같이 ‘지금 여기’에 기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과거와 미래를 술취한 원숭이처럼 뛰어 다니는 마음이 아닌…

대흠.

 

PS. 이미 많은 선사나 명상가, 학자들이 수도 없이 겪었고, 경험하고 있는 것에 불과한 얘기로 웬 호들갑이냐 할지 모르지만, 내가 직접, 내 몸과 마음으로 경험했다는 사실에 큰 중요성을 둡니다. 

PS2. 안철수 의원이 어느날 책을 읽는데 자신은 30분 정도 지났는 줄 알았는데 6시간이 흘러갔다고 말한 게 기억이 납니다. 이쯤되면 몰입의 대가라고 할 수 있죠. 하지만 그는 그고 나는 납니다. 나는 내 우주(Personal Bubble of Reality)의 주인입니다. 🙂

먼 길 돌아오며…

이것만으로 성공적인 삶을 보장받진 못하지만 필요조건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노래입니다.

 

 

21-Day 만트라 명상 중에서…

아침에 21일 만트라 명상을 듣다가 스크랩 해두고 싶은 내용이 있어 페이스북에 번역하고 올린 걸 다시 블로그로 퍼담았습니다. 요즘 과다한 욕심으로 머릿속이 복잡해지면서 삶의 균형이 깨진 저에게 필요한 멘트입니다. 내부의 지혜에 귀를 기울이고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건 내려 놓아야겠습니다.
 
“Perfect Timing”
우주는 늘 완벽한 타이밍에 따라 움직입니다. 우주에 동조하는 삶을 살아감으로써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의도(Intention)를 실현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에고에 대한 피로

에고에 대한 피로

osho-wake-up-ego

오늘 아침 양치질을 하는데 나(에고)에 대한 피로감이 살짝 느껴졌다. 영혼이 보내는 미세한 신호를 알아챈 것이다.
그런데 왜? 필름을 거꾸로 돌려보니 어제 저녁 페이스북 그룹 @용호비결공부방에 댓글로 너무 많은 얘기를 해서 그런 것 아닌가 생각된다. 이런 신호는 과거에도 수없이 있었을텐데 그걸 알아챘다는 건 각성 능력이 좋아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증거다. -대흠

 

명상을 한다는 것에 대해…

명상을 한다는 것에 대해…

휴일 회사에 나가 명상을 한다고 하면 마눌님은 은근히 불만을 털어 놓는다. “나는 애들하고, 먹고 사는 일하고 씨름을 하느라 애쓰는데 당신은 편안히 우아하게 명상이나 하고 있느냐.”라고…

하지만 그렇지 않다. 명상은 자연스러운 상태(Happening)를 말하는 것이고, ‘명상을 (수련)한다’고는 것은 그런 상태에 들기 위한 행위(Act)를 의미하는데 그건 인간이 할수 있는 가장 인위적인 일중의 하나일 것이다. 가부좌 틀고 앉는 것 자체도, 생각을 바라보거나 호흡에 집중하면서 몸을 꿈쩍하지 않고 한 시간 심지어는 두 시간 이상을 앉아 있는 것은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부자연스러운 행위고 고행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그런 상태에 익숙해지고 생각이 끊어지는 상태에 도달하면 자연스럽고 편안한 행복감을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더 깊이 들어갈 경우에 더욱 부자연스런 상황들을 맞이 할지도 모르지만…

‘인간이 이런 것까지 하고 살아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그러나 그건 인간의 숙명이다. 가부좌를 틀거나 호흡을 바라보고 있진 않더라도, 누구나 어떤 식으로든, 어느 생에선가는 그런 매우 부자연스러운 행위에 집착하는 길에 접어들 것이라 생각한다.

투표하는 날 회사에 나와…

대흠.

노암 촘스키

고2 딸래미와의 대화 한토막 
“아빠, 노암 촘스키 알아?”
“응, 좌파 지식인 아냐?” (이 사람을 좌우로 나누는 건 나의 무지와 편향된 잣대 탓일 것이다.)
“이 사람 저서가 MB 정부의 불온 서적 목록에 올라 어떤 사람이 이걸 알리려고 촘스키 선생한테 이멜을 보냈데” 
“근데 촘스키 선생 왈, 그냥 내버려 두세요.” 

대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