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타와 위빠사나의 차이

위빠사나는 오직 붓다만이 찾아내시고 설하실 수 있는 수행법입니다. 붓다가 출현하기 전에는 세간의 모든 수행법은 다 사마타 수행입니다.  

부처님께서도 처음 출가하셔서 그 시대에 있는 모든 수행법을 다 해보셨습니다. 그것은 모두 사마타 수행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색계 선정 수행을 하시고,  6년간 고행을 하시고도,  번뇌를 해결하지 못해 수자타의 유미죽 공양을 받으시고, 부다가야의 보리수 아래에서 세세생생 동안 쌓으신 바라밀 공덕이 완전하게 무르익어서 스스로 스승없이 위빠사나라는 위없는 수행법을 찾아내셨습니다.

 

그리고  일체를 통찰하신 위빠사나의 지혜로 모든 번뇌를 완전히 소멸하는 누진통을 얻으시고, 완전한 깨달음을 얻으셨습니다. 이 순간 부처님은 아라한과 동시에 붓다가 되신 것입니다.

 

이제 사마타 수행과 위빠사나 수행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첫째 수행대상이 다릅니다.

두째 대상에 집중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세째 수행으로 얻는 결과가 다릅니다.

사마타 수행의 대상은 관념(想)입니다. 그리고 대상과 하나가 되는 깊은 집중을 합니다. 그래서 얻는 것이 마음의 안정. 심청정입니다. 그리고 수행의 과보는 색계천상이나 무색계 천상으로 윤회합니다.

 

위빠사나 수행의 대상은 현재의 오온입니다. 그리고 대상과 하나가 되지 않고 대상을 객관적으로 분리해서 보는 찰나 집중을 합니다. 그래서 얻는 것이 통찰 지혜입니다. 그리고 수행의 과보는 윤회를 벗어나는 완전한 열반입니다.

 

사마타 수행은 멈춤(止. 선정) 수행으로 무엇을 멈추는가하면, 감각적 쾌락, 악의, 혼침과 게으름, 들뜸과 회한, 회의적 의심이라는 다섯 장애에 휩쓸리는 것을 멈추고 마음에 번뇌가 없는 심청정을 얻는 수행입니다. 

일상생활이나 수행 중에 현재를 놓치게 하고 마음이 과거 미래로 달리면서 우리를 번뇌에 휩쓸리게 하는 것이 이 다섯 가지 장애입니다. 이들이 일어나면 우리는 번뇌에 휘둘리게 됩니다. 이 다섯 장애는 매 순간 여섯 감각기관이 촉하는 대상에 대하여 일어나는 내 자신 속의 탐진치의 마음의 작용입니다. 사마타 수행은 이 다섯 장애를 우선 멈추게 해서 마음에 번뇌가 없게 합니다.

 

사마타 수행은 불, 법, 승, 자비희사, 죽음에 대한 명상, 10가지 까씨나(원판), 몸의 부정(不淨)함 등등으로 40가지 사마타 수행의 대상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수행자가 한 가지 수행 주제를 스승으로부터 선택받아 오직 그 대상에 마음을 집중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한 대상에 마음을 집중하면 어떤 원리로 다섯 장애가 일어나지 않고 마음이 청정해질까요? 

그 기전은 한 순간에 마음은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마음은 한 순간에 하나의 대상에 대하여만 아는 마음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수행자가 선정수행의 주제인 한 대상에 마음을 집중하고 있는 동안 번뇌가 일어날 틈이 없습니다. 그래서 수행자의 마음이 고요함, 안정, 평온, 집중 등의 상태에 도달하여 번뇌가 없는 행복을 느낍니다. 이것을 색계 1선정이라고 합니다. 색계 선정으로 마음에 번뇌가 없는 것을 심해탈(心解脫)이라고 합니다. 결론은 사마타 수행은 마음의 안정, 고요함, 집중을 얻는 수행입니다.

우리가 염불을 할 때 염불삼매에 빠지면, 지금 관하는 부처님의 상(想. 관념. 빤냐띠)이라는 대상에 오직 마음을 모아 깊은 집중(근본 삼매)을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염불수행으로 얻는 것은 마음의 집중, 고요함, 평온입니다. 그러나 이 선정력은 일상생활로 돌아오면 깨집니다. 그럼 다시 번뇌가 일어납니다.

 

위빠사나 수행은 관(觀. 통찰. 지혜)수행입니다. 무엇을 관하는가 하면 현재의 몸과 마음(오온)입니다. 그래서 오온의 고유한 특성과 조건적 특성과 일반적 특성(무상, 고, 무아)을 통찰하는 수행입니다. 즉, 수행자가 현재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물질적 정신적 현상에 대하여 어떤 번뇌 없이 있는 그대로 알아차림을 하여 있는 그대로 통찰하는 수행입니다.

위빠사나 수행법으로 얻는 해탈은 모든 번뇌(탐진치)를 지혜로 해탈한다 해서 혜해탈(慧解脫)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수행자가 자신의 몸과 마음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려 처음에는 오온의 고유한 특성과 조건적 특성을 알고, 더욱 발전하여 오온의 무상, 고, 무아를 체험하고, 자신의 몸과 마음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는 열반을 얻는 데는 네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먼저 사마타를 닦고 색계 선정상태에서 위빠사나로 넘어와서 열반에 이르는 방법 

2) 먼저 위빠사나 수행을 하다가 마지막에 깊은 집중으로 사마타 수행을 해서 열반에 이르는 방법

3) 먼저 사마타를 닦고, 위빠사나를 닦고, 다시 그 다음 단계의 사마타를 닦고, 그 다음 단계의 위빠사나를 닦는 방법으로, 두 수행법을 병행하여 열반에 이르는 방법.

4) 처음부터 사마타 수행 없이 위빠사나 수행으로 열반에 이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순수 위빠사나라고 합니다.

1)과 3)의 경우는 사마타 수행으로 마음에 다섯 장애가 없는 사마디(집중. 선정) 상태에서는 현재의 몸과 마음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기가 쉽고 그래서 오온의 무상, 고, 무아를 통찰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사마타 수행을 먼저 닦고 위빠사나 수행으로 넘어와 수행대상과 집중방법을 달리하여 그 결과로 정(定)에서  혜(慧)를 얻는 것입니다. 이런 수행방법으로 해탈에 이르신 분은 심해탈과 혜해탈을 다 구족하신 분으로 양면 해탈이라고 합니다.

 

4)의 수행법은 순수 위빠사나 수행으로, 사마타 수행단계가 없으므로 처음 수행을 할 때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다섯 장애들과 부딪칩니다. 그러면 이 다섯 장애를 다 알아차릴 대상인 법으로 받아들여 반응하지 않고 그들의 성품을 봅니다. 그들은 조건에 의해 일어났다가 알아차림이라는 조건에 의해 소멸한다는 법의 성질을 봅니다.

이렇게 다섯 장애를 친구삼아 스승삼아 알아차려가다 보면 알아차리는 힘이 쌓이고, 그래서 매사에 탐진치를 덜 일으키고, 그 결과로 마음의 안정과 오온의 생멸을 볼 수 있는 힘을 기릅니다.

위빠사나는 오직 현재의 대상과 그것을 아는 마음이 쌍으로 생멸하면서 이어지는 찰나 삼매(찰나집중)를 유지하여 다섯 장애를 극복합니다. 그런 뒤 오온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고, 12처를 알아차리고, 7각지를 알아차리고 사성제를 알아차려 열반에 이릅니다.  이렇게 4)의 방법으로 열반에 이른 경우에는 혜해탈자라고 부릅니다.

사마타 수행이나 위빠사나 수행이나 처음에는 모두 다섯 장애가 일어나므로 그들을 극복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일단 극복을 하면 선정을 얻거나, 지혜를 얻는데, 우리나라에 들어온 마하시 방법은 사마타 수행 없이 처음부터 위빠사나 수행으로 시작하는 순수 위빠사나 방법으로 지도합니다.

이 방법이 현대 생활에 잘 접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상이 모두 알아차릴 대상이고, 법이며, 생활 속에서 번뇌에 휘둘리지 않는 힘을 키우는 수행법이 4)번의 순수 위빠사나라고 생각합니다.

사마타 수행으로 일정 수준의 선정력을 얻으려면 오직 자신의 수행 주제에 집중만 하는 생활을 해야 하는데 이것은 출가 수행자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염불, 간경, 절, 100일 기도 등등은 모두 사마타 수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 대상에 깊이 몰입하는 집중을 하여 마음의 안정을 얻는 수행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기도나 염불로 집중력이 있는 분들이 마음을 열고 위빠사나 수행을 하시면 쉽게 자신의 탐진치가 올라오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고, 그래서 탐진치를 놓는 법을 알게 되며, 또 알아차림으로 몸과 마음의 무상, 고, 무아의 성품을 확인할 수 있어 위빠사나의 지혜가 더 빨리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한가지 사마타 수행으로 얻은 마음의 고요는 일상에서 잘 깨지지만 ,  위빠사나 수행을 해서 얻은 지혜는 일상에서도 그 힘을 발휘하여 번뇌로부터 막아줍니다.

위빠사나의 지혜는 자기가 닦은 만큼의  항상 자기를 따라다니며 수행자를 번뇌로부터 보호합니다. 그래서 위빠사나의 통찰 지혜만이 번뇌로부터 벗어나는  유일한 길(에까야노막가)이라는 부처님의 대념처경 말씀을 이해하게 됩니다.

 

출처: 여기지금의 블로그

GlideWing 주말 온라인 오픈 Workshop

GlideWing 주말 온라인 오픈 Workshop

지성과 영성을 갖춘 이성적인 사람들이 모여 신비한 현상을 연구하는 비영리 단체 IONS에서 주말 무료 온라인 이벤트 공지를 하네요. 양자물리학 등의 과학 이론을 바탕으로 실험을 통해 의식의 알려지지 않은 작용 등에 대해 대중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들의 어젠다에는 샤머니즘(무속) 까지 포함이 됩니다. 과학이 설명하지 못하는 현상들에 마음을 열고 연구/관찰합니다. 박근혜의 우주나 최태민의 잡술 등과는 격이 다릅니다.

지금 우리나라 정신, 에너지계는 기존의 종교들과 최근 국내는 마음챙김(Mindfulness) 명상이 붐을 이루고 있는데, 명상이든 신성한 믿음이든 가릴 것 없이 인간계 모든 것은 흘러 갑니다. 인간이 의식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변화하고 트렌드를 탈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물론 의식의 근저에 깔린 기본은 바뀌지 않겠죠. 그러면서도 마음챙김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자리를 지킬 것으로 봅니다. 수행자의 기본이기 때문이죠.

언제일지는 모르지만 다가올 미래의 흐름에 대해 이름을 붙였습니다. #임파워링 #empowering 입니다.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권능을 회복하자는 얘기죠. 권능을 회복하려는 인간의 노력 중 하나는 객관의 세계인 과학입니다. 앞으로 과학이 백년, 천년, 만년을 발전해 간다면 그 권능 회복할 것이라 봅니다. 그에 맞춰 주관적 세계인 인간 개인의 의식/능력도 진화해 갈 것으로 봅니다.

마음을 바라보는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마음을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좋은 방향으로 써야죠. 천벌을 안받으려면.. ^^) 신이 자신의 형상을 본떠 인간을 창조했다고 하면 당연히 신의 권능(현실창조)도 껍데기 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내재되었을 것이고 허략된 것입니다. 우리가 그걸 인지하지 못하고 쓸 줄을 몰라서 문제인 것이지요.

All courses

The Ancient Art of Shamanic Journeying February 8 – March 1, 2020 This three-week guided workshop is an introductory exploration of shamanic consciousness and journeying. Shamanic Journeying is a deep meditative practice that involves the projection of conscious awareness in an exploration of the shamanic realms. Kenn also explores shamanic traditions including the cosmology of the world tree.

 

Mindvalley 2017 변화와 새로운 전략

최근에 2003년 창업이래 13년간 고속으로 성장해온 Personal Growth 분야의 콘텐츠 퍼블리싱 스타트업 마인드밸리 아카데미 사이트에 들어 갔더니 상품들이 많이 정리되어 다소 썰렁한 느낌을 받았는데, 비지니스적으로 생각하면 돈 안되는 콘텐츠들을 떼어내고 품질을 올려 소수의 패케이지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라 생각한다. 비셴, 이 양반 말은 참 그럴듯하게 잘 하네요.

CEO 비셴 라키아니(Vishen Lakhiani)는 2017년 마스터 플랜에서 그동안 공급하던 수천개에 달하는(이 정도는 아닌데… ^^) 자신들의 프로그램 중 90%를 내린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핵심이 되는 15개의 프로그램은 살리고 추가로 15개의 수준높은 프로그램을 공급하고 아울러 새로운 Personal Growth 교사들을 영입할 것이라 합니다.

Log In or Sign Up to View

See posts, photos and more on Facebook.

“의식 조절하는 뇌 영역과 연결망 찾아”

“깨어 있어 자신과 주변을 감각·지각할 수 있는 ‘의식’이 콕 집어 뇌의 어느 영역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물음 중 하나이다. 이와 관련해, 최근 미국 하버드대학 의과대 베스이스라엘의료센터(BIDMC)의 연구팀이 뇌 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해 의식의 조절에 중요한 구실을 하는 것으로 보이는 뇌 영역들과 그 연결망을 찾았다며 과학저널 <뉴롤로지>(신경학)에 보고해 눈길을 끌고 있다.”

Security Check Required

No De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