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안에서 경험한 몰입(Flow)

지하철 안에서 경험한 몰입(Flow)

어제 출퇴근 중 지하철에서 몰입 상태를 경험했습니다. 이전에도 몰입을 경험하지 못한 바는 아니지만 조금은 특별하게 경험을 했던 것 같습니다. 몰입의 순간이 지금 여기(Here and Now)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과 그것이 행복이고, 해피포켓의 저자 데이비드 기칸디가 만트라처럼 반복하는 기쁨(Joy)이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행복은 돈이나 권력으로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행복은 의식적으로 찾는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철학자 밀은 ‘네 스스로에게 지금 행복하냐고 물어보는 순간, 행복은 달아난다.’라고 말했다. 행복은 직접적으로 찾을 때가 아니라 좋든 싫든 간에 우리 인생의 순간순간에 충분히 몰입하고 있을 때 온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중에서

이런 몰입 상태는 이전에도 자주 경험했습니다만 그 상태를 인지하고 그 경험에 라벨을 붙여 놓았다는 것 역시 이전에 거의 무의식적으로 경험했던 것과는 차이가 작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어제 아침 지하철에서 노트북을 켜고 번역 작업에 몰입하던 중에 일어난 느낌입니다.

월요일 아침은 본디 다소 혼란스럽고 부정적인 것 같다. 주말동안 일을 작은 단위로 쪼개 놓은 것도 수시로 찾아오는 혼란 속에 길을 잃거나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나를 둘러싼 불확실한 환경에 휘둘릴 필요없이 그저 지금 이 순간 내 앞에 주어진 작은 조각에만 ‪#‎몰입‬ 하면 된다. 그러다보면 불안과 혼란은 아침 햇살에 어둠 가시듯 사라져 버린다.

아침 출근길에 이어 퇴근길 지하철에서도 구닥다리가 된 갤노트2의 멀티창에 Adobe Reader와 네이버 사전을 동시에 띄워 놓고 번역 중인 스크립트(Transcript)를 해석하며 잠시 몰입 상태를 경험했습니다.
 갤럭시노트2_MultiWindow

명상으로 얘기를 하면, 몰입은 집중 명상에 가까운 것이라 위빠사나와 같은 통찰 명상과는 외견상 분명 다르지만 어제의 경험으로 볼 때 양자가 똑같이 ‘지금 여기’에 기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과거와 미래를 술취한 원숭이처럼 뛰어 다니는 마음이 아닌…

대흠.

 

PS. 이미 많은 선사나 명상가, 학자들이 수도 없이 겪었고, 경험하고 있는 것에 불과한 얘기로 웬 호들갑이냐 할지 모르지만, 내가 직접, 내 몸과 마음으로 경험했다는 사실에 큰 중요성을 둡니다. 

PS2. 안철수 의원이 어느날 책을 읽는데 자신은 30분 정도 지났는 줄 알았는데 6시간이 흘러갔다고 말한 게 기억이 납니다. 이쯤되면 몰입의 대가라고 할 수 있죠. 하지만 그는 그고 나는 납니다. 나는 내 우주(Personal Bubble of Reality)의 주인입니다. 🙂

차원용 박사의 꿈일기

성경의 과학적 해석을 통해 우주 창조의 비밀을 밝힌 바이블 매트릭스(총 6권)의 저자이며 국가과학기술심의회 ICT융합전문위원회 전문위원이며 미래학자인 차원용 박사님과 페이스북 댓글로 이야기를 나누던 중, 자신이 중학교 1학년 때 노먼 빈센트 필 목사의 적극적 사고 방식을 읽고 대학 다닐 때까지 꿈일기를 썼다고 합니다. 그때 꾼 꿈들이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나 상상력과 창의력을 기르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하시네요. 

인생을 꿈속에서도 살 수 있었기 떄문에 남들보다 인생을 2-3배 더 살 수 있었다고 말하시는 걸로 볼 때, 이 분이 단순히 꿈만 꾼 것이 아니라 꿈 속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얻거나 능동적인 활동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회가 되면 자세히 물어 보고 글로 올리겠습니다. 

대흠.

 

차원용박사의 꿈일기

차원용 박사의 꿈일기

차원용 박사의 꿈일기

 

새벽에 잠깨서 녹음기에 #꿈일기 를 써봤습니다. ㅎ 꿈일기를 쓰려면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무대 장치와 시나리오를 글로 묘사하려면 소설 쓰는 일에 버금 가거든요. 전부터 일상에서 녹음을 해보려 생각을 했는데 녹음기…

Posted by 장성순 on Friday, July 24, 2015

[실험 프로젝트#1] 자각몽에서 유체이탈까지

작년 이맘때 자각몽을 해보려고 꿈일기 부터 추진하다가 한달만에 중단했습니다. 이유는 숙면을 취하는데 방해를 받았고 꿈일기를 쓸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였습니다. 작년의 경험을 발판으로 재도전 합니다. 🙂

 

새벽에 잠깨서 녹음기에 #꿈일기 를 써봤습니다. ㅎ 꿈일기를 쓰려면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무대 장치와 시나리오를 글로 묘사하려면 소설 쓰는 일에 버금 가거든요. 전부터 일상에서 녹음을 해보려 생각을 했는데 녹음기…

Posted by 장성순 on Friday, July 24, 2015

음성 파일 공유로는 세계적인 서비스인 사운드클라우드가 유명한데 무료는 제한이 있어서 안쓰고 있었는데, 국내 스타트업 레코드팜에서 완전 무료 모델을 내놓았네요. 부디 사운드클라우드를 능가하는 서비스로 성장하길 바랍니다. 🙂

명상 메모 2015년 7월 8일

 

명상메모_20150708

명상메모_20150708

조금 전에 명상을 마쳤습니다.

마음을 옭죄고 있던 걸림 중 하나가 사라지니 명상 중 영혼(Spirit & Soul)의 느낌이 전 보다 더 명료해지네요.

부모, 형제, 가족 그밖에 모든 관계들, 이름, 나이, 지식, 경험, 감정 등 세상에 나온 이후로 나의 의식에 쌓여 있던 모든 것들이 사라지면 침묵 속의 어떤 존재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 존재와의 접촉이 명료하고 길어질수록 나의 의도는 저 우주의 어딘가에 전달이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우주(신이라 해도 좋고…)는 내 앞날에 일어날 일들의 순위를 조정하고 필요하면 만들어 가장 적은 에너지로 나의 바람이 실현 되도록 계획을 짭니다.

나를 도와주는 존재에 감사를 올립니다.

 

대흠.

Amy Cuddy: Your body language may shape who you are

(NOTE: Some of the findings presented in this talk have been referenced in an ongoing debate among social scientists about robustness and reproducibility. Read "Corrections & Updates" below for more details as well as Amy Cuddy's response.) Body language affects how others see us, but it may also change how we see ourselves.

당신의 신체 언어가 자신의 모습을 결정한다

새벽에 잠깨어 직관가 소니아 쇼켓(Sonia Choquette)이 보내온 밀린 뉴스레터를 읽다가 그 안에 삽입된 테드 동영상을 봤는데… “음~ 대충 그런 내용이군. 공부 많이한 똑똑한 여자네. 말도 참 잘하는군.” 하고 브라우저의 다른 탭을 열어 딴짓(?)을 하다가 동영상이 끝날 무렵 돌아와 보니 감동적인 얘기가 펼쳐지고 있었습니다.
자신이 혹은 주변에 자신감이 부족하여 고민하는 누군가가 있으면 시청을 권해도 좋을 것입니다. 20분 투자할 가치가 충분합니다

대흠.

신체 언어의 효과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보는가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때로 그것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회심리학자인 에이미 커디는 “힘준 자세”— 심지어 자신감을 잃었을 때도 자신감을 갖고 똑바로 서는 자세—가 어떻게 뇌안의 테스토스테론과 코티졸 수준에 영향을 주고, 심지어 사람들이 성공할 가능성에까지 영향을 주게 되는지를 설명한다.

Amy Cuddy: 에이미 커디(Amy Cuddy): 당신의 신체 언어가 자신의 모습을 결정한다.

신체 언어의 효과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보는가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때로 그것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회심리학자인 에이미 커디는 “힘준 자세”– 심지어 자심감을 잃었을 때도 자신감을 갖고 똑바로 서는 자세–가 어떻게 뇌안의 테스토스테론과 코티졸 수준에 영향을 주고, 심지어 사람들이 성공할 가능성에까지 영향을 주게 되는지를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