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춘 목사의 지속가능한 성공
아침부터 몸이 찌뿌등하다. 소화도 안되고 몸살기도 있다. 간밤에 꿈수련 하느라 잠을 설쳐서 그런가? 아님 기몸살일까? 기몸살이면 좋겠다. 🙂
대흠.
출처: 자연 선도
명현인지 진짜로 아픈건지 …?
수련중에 많은 분들이 명현에 시달린다.
처음부터 명현이라는 것이 분명하다면 어떻게든 참고 수련으로 이겨낼 터인데 그렇지 않은게 문제이다. 아픈게 명현 때문인지 아니면 진짜로 아픈건지 혼동되기 때문이다. 그 혼동이 아파서 오는 통증보다도 더욱 수련인을 괴롭히는 경우가 많다.
몸이 안 좋은 분들의 경우 수련중에 명현현상을 자주 겪게 된다. 그것을 실제 아픈걸로 착각하여 별 생각없이 이전의 습관대로 약을 먹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약을 먹어도 별 차도가 없어 이상하다 싶으면 그때서야 실무진에게 상담을 요청하게 되는데…
명현에 대한 사전지식을 가지고 수련에 임한다면 명현현상이 발생했을 때 당황하지 않고 훨씬 더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명현과 진짜로 아픈 병증을 구분하는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명현현상으로 고생하시는 수련자에게 약간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한다.
명현은 병증과 다른 몇가지 특징이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명현현상인지 혹은 진짜 병증인지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첫째로 증상의 원인이다. 병증은 증상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음식을 잘못 먹어서 배가 아프다든지, 심한 운동끝에 관절이 아프다든지… 그런데 명현은 부지불식간에 찾아온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데 배가 아프고 설사를 한다든지 혹은 관절이 아프다든지…
명현은 불현듯 왔듯이 불현듯 사라진다.
둘째로 명현은 수련이 잘될수록 심해진다. 수련 한 타임을 찐~하게 하고나서 몸이 가뿐해지거나 별 차이가 없으면 병증이요, 오히려 그 증상이 더욱 심해지면 명현의 가능성이 높다.
거꾸로 생각하면 수련을 잠시 쉬게 되면 통증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체외로 빠져 나오던 병뿌리가 다시 자리를 잡으면서 잠복을 하게 되는 현상이다. (통증이 아주 심할때는 할 수 없이 이 방법이라도 …^^)
셋째로 증상의 발현을 잘 살펴보면 조금 다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복통으로 인한 설사는 뒷끝이 개운치 않은데 명현으로 인한 설사는 오히려 시원하고 개운한 감을 느끼게 된다. 명현을 몇번 겪다보면 이런 느낌의 차이를 어느정도 알게 된다.
넷째로 주지하다시피 명현은 약을 먹어도 차도가 없다. 머리가 아파 평소처럼 두통약을 사먹었는데 예전같지 않게 계속 아픈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바로 상담을 해야 한다.
다섯째, 명현은 대체로 예전에 안 좋았던 부위에서 나타난다. 혹은 예전에 앓았던 증상들이 다시 나타난다. 이 경우 다시 몸이 나빠진게 아닌가 하고 덜컥 겁을 먹기도 하지만 오히려 확실한 명현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명현은 병뿌리를 제거하는 과정이지 몸이 다시 나빠지는 과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단, 예전과는 다른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으니 다른 구별법과 병행해서 판단해야 한다.
여섯째, 체내에서 뭔가가 밖으로 빠져나오는건 대부분 좋은 경우이다.
손발에서 진물이 나온다든지, 피부가 가렵거나 버듬이 벗겨진다든지, 눈물이 나온다든지 하는 경우이다. 몸안의 사기가 빠져 나오는 매우 긍정적인 현상이다.
일곱째, 수련단계가 한단계 올라갈 때 많이 겪는다. 이 경우 기몸살과 명현이 섞여서 나타난다. 기몸살이란 수련단계가 올라가면서 기운이 바뀌게 되고 바뀐 기운을 몸에서 받아내기 힘들어 몸살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기몸살은 실제 몸살처럼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명현증상이 같이 나타나기도 한다.
여덟째, 운기의 진행위치와 관계있는지를 살펴본다. 예를 들어 대맥이 명문에 닿을 때쯤 허리부위가 아프다던지 소주천이 독맥을 타고 올라갈 때 머리통증이나 잇몸통증이 오는 경우이다. 이 경우 다른 구별법과 병행하여 명현인지 아닌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아홉째, 명현은 몸의 명현만 있는 것이 아니라 감정의 명현과 생각의 명현도 있다. 이유없이 슬픈감정이 올라온다던지, 외부의 자극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내면에서부터 분노심이 일어나는 경우 등은 수련에 의해 중단전이 닦이는 감정의 명현반응이다. 그런 감정들은 이유없이 생겨났듯이 좀 지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불현듯 사라지고 오히려 명현 이전보다 감정이 더욱 평온해지게 된다.(중단전의 치료과정)
상주의 명현반응도 있는데 특별한 이유없이 어떠한 종류의 잡념이 계속 일어나는 경우나 반대로 건망증이 심해지는 경우 등이다. 이 때에도 수련을 계속하다보면 정상으로 돌아오는데 명현 이전보다 의식이 더욱 맑아지게 된다. (상단전의 치료과정)
마지막으로 명현은 한번 나타나고 완전히 없어지는게 아니다. 병의 뿌리가 깊은 경우 수련이 진전되면서 양파 껍질이 벗겨지듯이 같은 명현증상이 재차 삼차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때에는 명현증상을 통해 내 병의 뿌리가 얼마나 깊은지를 이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이상 명현과 진짜 병증을 구분하는 방법을 두서없이 적어봤는데, 사실 강조하고 싶은 것은 수련자의 마음가짐이다. 아픈 분들에게는 배부른 소리일지 모르지만 수련중에 겪는 숱한 증상과 명현들을 벗삼아 수련을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단기적으로는 좋기도 하고 안 좋아지기도 하지만 결국은 좋아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여유있는 자세로 꾸준히 수련할 필요가 있다.
자각몽이란게 잠에 들고 나서 꿈이 시작되는 것으로만 생각했는데 생생한 영상을 보면서 잠에 빠지는 경우도 자각몽이란 생각이 든다. 오늘 새벽에 그런 경험을 했다. 지난 해부터 두 권의 자각몽 책을 읽고 꿈일기를 쓰려고 했는데 전과 다르게 꿈이 잘 기억도 안나고 새벽에 잠을 설치는 바람에 며칠 중단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그런 순간이 찾아온 것이다.
새벽 2시에 잠자리에 들어 눈을 감았는데 눈 앞에 생생한 영상이 펼쳐졌다. 전에도 잠들기 전 이런 영상들을 본 적이 있었는데, 어떤 때는 손상된 사람들의 얼굴도 나타나고 그땐 그게 구천을 떠도는 영가들이 아닐까 생각했었다.
이번에는 물속에 해파리 같은 부유물이 떠다니고 위쪽에선 햇빛이 들어오는 영상이 나타났다. 이어서 어떤 거리에 사람들이 보였다. 그 모습은 시각화할 때나 보통 꿈 꿀 때와는 달리 매우 생생했다. 그때까진 잠에 빠지진 않았으나 의식은 대략 알파 상태에 들어가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사람들을 자세히 살펴보려 마음을 먹으니 얼굴이 클로즈업이 되기도 하고… 기억나는 건 거기까지다.
카를로스 카스타네다의 ‘자각몽, 또다른 현실의 문’이란 책을 보면 꿈수행의 일곱 단계중 첫 단계를 멕시코 마법사 돈 후앙은 미국인 인류학자인 그의 제자 카를로스외의 대화에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 관문은 반드시 통과해야 할 문턱인데, 깊은 잠에 빠지기 전에 느끼는 독특한 느낌을 잘 알아 차리게 될 때 통과한 거라네.” 그가 말했다. “기분 좋은 무거움 같은, 눈을 뜰 수 없게 만드는 느낌 말이야. 그 어둠과 무거움의 느낌 속에서 자신이 지금 막 잠에 빠져들고 있음을 알아차리는 바로 그 순간이 첫 번째 관문에 도달한 거라네”
“잠들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아차릴 수 있습니까? 단계적으로 밟아야 할 훈련이라도 있나요?”
“아니 밟아야 할 훈련은 없네. 그냥 잠에 빠져들고 있음을 알아차리겠다는 의도를 내기만 하면 된다네.”
“하지만 알아차리겠다는 의도를 어떻게 낼 수 있죠?”
“의도 혹은 의도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하기가 힘들다네. 나는 누구든 그걸 설명하려고 하면 마치 바보 소리처럼 들릴걸세. 일단 그 점을 염두에 두고 들어보게나. ‘마법사들은 무엇이든 그것을 그저 의도함으로써 의도하고자 하는 그것을 의도한다네’.”
참고로, 책에 따르면 돈 후앙의 꿈수행은 스승없이 혼자 하는 것은 위험하니 주의해야 한다. 자칫하면 다른 차원의 존재들한테 끌려가 우리가 사는 현실로 부터 사라질 수도 있다고 한다.
대흠.
출처: 지혜경영 연구소
서양의 교실에서 명상을 하는 모습입니다. 명상 종주국인 한국에서도 변화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김포외고, 부영여고, 진접고 등 전교생 특강, 선린인터넷고 등 간부 특강, 교장선생님 총 1200명 특강에서 95점 최고 점수, 풍덕천고 등 선생님 특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