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지니스와 기업 경영에도 영성의 기운이 움트나요?

미내사 사업(Business)에 영성이 도입이 될 것으로 보고 있네요.  

출처: 미내사 홀로스연구소 및 공동체

새로운 의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띠며 급격히 확산될 것으로 봅니다. 

먼저, 심신치유의 형식으로 의료가 바뀌고 있습니다. 그래서 몸과 마음이 둘이 아님을 인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둘째, 자연과 함께 한다. 즉, 자연에 산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맑은 의식과 건강을 보장받는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셋째, 사업에 영성이 도입된다. 

개인만을 위한 사업이 아닌 전체를 위한 사업, 영적으로도 건강한 사원들이 모인 기업이 번영하게 됩니다. 기업의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는 곳들도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어느 대기업은 사회지원팀이 있어 지원팀장이 부사장급이라는 말도 들었습니다. 그만큼 자신들이 벌어들인 이익을 어떻게 잘 환원할 것인가가 중요해지고 있다는 말이겠지요. 

넷째, 새로운치유 시스템은 건강을 위한 예방과 생명의 연장에 사용됩니다. 앞으로는 건강을 넘어 생명연장이라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마케팅의 대부 필립 코틀러 박사가 마켓 3..0에서 기업의 영성, 진정성(integrity, 온전함. 진정성)을 강조한 바도 그렇고 

기업은 이제 소비자들의 ‘영혼’을 감싸 안는 세 번째 단계로 진화해야 한다. 소비자들의 욕구와 열망을 이해하고 스티븐 코비가 ‘영혼의 암호를 푸는 것’이라고 정의한 바로 그것을 실천해야 한다. 앞서 설명한 세계화의 패러독스와 창조적 사회의 부상은 바로 이런 ‘영적 호소력’의 대상인 소비자를 이제 지성과 감정, 영혼을 가진 ‘인류 전체’로 설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각인시켜준다.—p.69

 

경영학자 최동석 박사도 그의 블로그 포스팅에서 다음과 같이 2세대 경영학이 태동하고 있는 것 같다고 언급한 바 있고,

나는 조직에 관한 기본적인 사상이 대전환의 기운을 서서히 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말하자면, 제2세대 경영학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새롭게 등장하는 제3세대 경영학에서는 조직과 경영관리를 홀로그램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그래서 나는 조직을 하나의 홀로그래픽 시스템(holographic system)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개념은 조직의 한 요소인 조직구성원 개개인에게 조직전체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세대 경영학의 관점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조직이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직구성원 개개인이 곧 조직의 전체라는 말입니다.조직은 구성원의 집합이기도 하지만, 조직의 요소인 구성원이 곧 조직이기도 합니다. 이런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홀로그램(hologram)의 원리와 양자물리학의 기초적 이해를 필요로 합니다...

 

끝으로  페북친구이자 ‘우리가 섬세해졌을 때 알게 되는 것들‘의 저자 김범진님과의 페이스북 댓글 대화에서도 비슷한 얘기가 나왔죠.

https://www.facebook.com/Seomse/posts/559940517355499

 

 

그러한 미래를 보고 6년 전에 만든 이 블로그도 같은 맥락에 있다고 보는데 충실하게 운영하진 못했지만 엉뚱한 짓을 한 건 아니란 생각에 기분이 좋네요. 🙂

 

대흠.

돌아온 이천수, 플러스일까 플러스알파일까?

축구를 좋아하고 이천수에 대한 아쉬움이 있었던 사람으로서 그가 다시 필드에 설 수 있게 되어 기쁩니다. 그런데 오늘 할 얘기는 축구에 관한 것이 아니고 그가 돌아오게 된 과정에 이런 일이 있었다네요. 상상(시각화)와 열망, 이런 것들이 그를 다시 필드에 서게 하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이천수가 잘 되길 기원합니다.


필드에서 다시 뛰는 나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힘든 시간을 버텼다”던 입단식에서의 고백을 기억하고 있다. 후배들에게 존경받고 싶고 팬들에게 환영받고 싶다던 바람도 기억한다. 돌아온 이천수는 과연 플러스일까 플러스알파일까. 이천수 특유의 오기가 나와야한다.

출처: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410&article_id=0000058698

Steve G. Jones 최면 시범

작년부터 최면에 관심이 생겨 Steve G. Jones의 사이트에서 여러가지 MP3를 구매하여 듣고 따라해 봤습니다. 최면의 효과에 대해서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크고 제 경우 결과를 분명하게 가르기도 어려워 잘라 말할 수는 없습니다. 단지 끌린다는 것. 그 하나만으로 신뢰를 합니다. 안되는 건 모두 제 문제입니다.^^
 

아래 동영상은 Mind Valley가 개최한 Awesomeness Fest 2010에서 Steve가 최면에 대한 소개와 함께 간단한 시연을 한 동영상입니다.


최면의 3가지 주요 요소 (3 areas of focus)
1. Hypnosis Suggestion (최면 암시)

2. Visualization (시각화)

3. Relaxation Training (이완 훈련)

최면의 단계,

1. Induction (유도)

2. Deepening (심화)

3. Script (최면 멘트)

4. Amnesia (최면 기억을 정리하는 작업. 기억을 하면 분석을 하게 된다고…)

5. Trance Termination (최면 상태 종료)

[건강]‘아우토겐 트레이닝’ 아시나요

[건강]‘아우토겐 트레이닝’ 아시나요

스트레스는 물론 우울증·불안증·고혈압에도 효과

ㆍ몸과 마음의 집중 통해 숙면 뒤 같은 평정 찾아


아우토겐 트레이닝(Autogen Training 자율 훈련)을 아시나요? ‘스스로(auto) 생성하는(genesis) 연습(training)’이라는 뜻을 갖는 이완요법이다. 1920년대 독일의 정신과의사 요하네스 슐츠 박사에 의해 그 수련법이 체계를 갖춘 이후 현재 독일을 포함한 유럽에서는 가장 인지도가 높고 보편적으로 보급된 이완요법으로 알려져 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2211950195

http://cafe.naver.com/autogen


Ten Step Astral Projection

작년에 Steve G. Jones 프로그램으로 열심히 하다가 잠시 접고 있는데 아침 검색 중에 다른 사람의 자료가 보이길래 블로그에 보관합니다.

도입부에서 유체이탈 경험이 전 지구적인 현상이라 하네요. 모든 문화, 교육이나 경제 수준, 종교, 남녀노소 구분없이 경험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사람들이 영적인 지식과 수용성이 커지면서 훨씬 더 개방적으로 바뀐 덕택에 유체이탈 경험이 인기를 얻어 간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좀 다른 것 같은데요. 특히 저는 디지털 문화 속에 주로 거주하다 보니… 

물질에 보다 더 탐닉하는 디지털계는 더욱 캄캄하지요. 🙂

대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