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행우주 (Parrel Universe)
러시아 양자물리학자 출신인 바딤젤란드가 쓴 러시안 베스트셀러 ‘리얼리티 트랜서핑’에서는 평행우주를 가능태 공간(Space of Variation)이라 부릅니다. 이제 과학의 발전을 통해 파헤쳐지는 우주의 비밀과 수천년(혹은 수만년)을 은밀하게 전해 내려왔던 신비주의가 만나게 됩니다.
요즘 양자물리학에도 관심을 많이 기울이는 중입니다. 물론 전공도 아니고 워낙 어려운 주제라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화두로 접근을 하지만 그것 또한 어려운 일이죠. 그래도 해야… 🙂
주) 다중우주(Multiple Universe)란 개념도 평행우주와 혼용이 되어 사용되는데 엄밀히 말하면 다르다고 합니다. 그러나 정신계발 분야에서는 이 두 개념을 따로 분리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 개념들을 응용하는데 있어서 세밀한 구분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대흠.
일본계 미국인으로 세계적인 이론물리학자, 미치오 카쿠
디팩 초프라의 꿈을 이루는 의도와 소망의 법칙
디팩 초프라가 꿈을 이루는(Manifestation) 비결에 대해 말을 하네요. 셀 수도 없이 많은 미국의 Personal Growth/Improvement(자기 계발) 분야의 성공 프로그램들이 있는데 대부분 공통적으로 아래 동영상에 나오는 이야기를 합니다. 그 밖에 여러가지 자잘한 테크닉이 있지만 크게 보면 이게 전부입니다. 나머지는 각자의 연습에 달려 있습니다. 꾸준한 연습과 깨어있는 의식으로 믿음이 흔들려서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줘야 합니다.
대흠.
동영상에 나오는 자막과 말을 정리했습니다.
-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가 먼저 행복해져야 합니다.
- 그리고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세상과 연결합니다.
- 온 몸으로 꿈을 느끼는 것. 생각, 감각, 이미지를 이용하여 꿈을 느낍니다.
- 그리고 꿈을 생각하면서 조용히 명상하세요.
- 명상을 할줄 모른다고요?
- 명상하는 방법을 모르더라도 우리는 우리의 영혼과 만날 수 있습니다. 내면의 소리에 귀기울이다 보면 우리의 존재가 느껴집니다.
- 명상은 나의 꿈과 영혼을 연결하는 도구입니다.
- 당신의 꿈을 영혼에게 알려주세요. 그런 다음 꿈을 영혼에서 떼어 놓습니다(detachment). 꿈을 이루겠다는 욕심에 집착하면 에고(ego)가 개입하면서 걱정과 두려움이 따라 옵니다. 그냥 놓아버리세요(Let go~). 마음껏 놀면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 즐겁게 사십시오.
저는 평생 이렇게 믿고 살아왔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은,
- 심각하지 않으면서 즐겁고,
- 창의적이며
- 기쁨 속에서 살며, 주변 사람을 행복하게 만듭니다.
제가 이 말을 반복하는 이유는 이것이 너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 열심히 일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심각해지면 따분해지죠.
- 심각함은 영혼을 연결하는 감정이 아닙니다.
- 웃음, 기쁨, 평화, 조화, 사랑 등의 감정이 우리의 꿈을 영혼에 연결시켜줍니다.
이런 감정들은 정말 흥미로운 일들을 일으킵니다.
- 마음 속의 이미지가 뇌 속의 신경세포들을 연결하고 여러분의 인식,태도, 직관, 통찰, 영감, 창의력, 상상력 등 모든 것이 꿈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 꿈이 어느날 갑자기 마술처럼 현실화 되는 것이 아닙니다. 꿈은 서서히 실현이 되어 가면서 우리에게 신호를 줍니다. 우리는 그 신호를 동시성(Synchronicity=동시에 발생하는 것) 혹은 의미있는 우연(우연의 일치)라 부릅니다.
자신의 영혼과 만나고 다른 사람들의 영혼과 교류하고 영적인 우주라 부르는 깊은 영역과 만나는 것입니다. 개인의 영혼, 집단의 영혼, 우주의 영혼. 개인의 영혼과 우주의 영혼이 연결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컴퓨터가 우주의 컴퓨터에 접속하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당신의 꿈을 이메일로 우주의 컴퓨터에 보내면 우주의 컴퓨터는 당신의 꿈이 실현될 수 있도록 상황, 환경, 사람, 사건 등을 이용하여 동시성을, 의미있는 우연을 만들어 냅니다. 영적인 전통에서는 이것을 은총이라 부릅니다. 신의 은총을 받고 있는 상태입니다.
준비된 사람이 행운을 만나는 것입니다. 꿈은 이런 식으로 실현이 됩니다. 저에게도 이런 일들이 일어났습니다. 신경과학을 공부하면서 몸만 생각하는 것으로는 안되며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연결해야 하며 생태계를 넘어 세계를 치유해야겟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들도 자신에게 질문을 해보십시오,
- 나는 누구인가?
- 나는 무엇을 원하는가?
- 어떤 세상에 살고 싶은가?
- 내가 살고 싶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할 수 있나?
오늘 우리는 서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경 쇼 – Ep.11 디팩 초프라의 꿈을 이루는 의도와 소망의 법칙
프로그램 공식 홈페이지 : http://mkshow.interest.me/ [2013.03.29 방송] 세계인들이 가장 만나고 싶어 하는 영적 지도자! 오프라 윈프리, 레이디 가가, 데미 무어, 미란다 커 등 할리우드 톱스타들이 만나고 싶어하는 정신적 스승! 전 세계 힐링 열풍을 …
NLP적인 삶을 살 때 중요한 것은 “오감”

성공적인 삶을 위한 태도, 초연함과 깨어 있음.
사람들에게 성공적인 삶을 사는 방법을 가르치는, 씨크릿(Secret)의 교사, 밥 도일(Bob Doyle)은 책 ‘해피포켓(Happy Pocket Full of Money)‘의 서문에서 이렇게 고백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비록 이 날까지도 내가 가르쳤던 것이 정확했다고 믿지만 그다지 성공적이지는 못했습니다. 즉 나에게는 잃어버린 퍼즐 조각이 있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삶에 엄청난 영향을 주기 전에 먼저 내 스스로 그 조각들을 찾아내야 했습니다.
경제적으로 형편이 너무 어려워지면서 나는 마침내 그렇게 열심히 <노력하는 것>을 그만 두어야 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나는 사람들에게 그냥 놓아두기만 하면 “우주”가 다 해결해 줄 것이라고 가르쳐 왔죠. 그러나 사실 우주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우주(신)를 온전히 믿고 일을 맡길 수 있다면, 나머지는 우주가 알아서 해주기 때문에 과도하게 추구하지 않아야 합니다. 어떤 면에서 볼 때 열심히 일을 한다는 것은 우주를 믿지 못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못 믿기 때문에 불안하고 뭔가 자꾸 보완을 하려는 마음이 드는 것이지요. 그러나 행동을 하지 말라는 얘긴 아닙니다. 행동과 노력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뉴에이지 자기계발법에서 공통적으로 얘기하는 창조의 과정을 간단히 정리해 보면,
- 존재 상태에 대한 깨어 있음 일상에서 긍정적이고 목표가 이미 이루어진 것 같은 느낌의 상태를 유지합니다.
- 생각/말 존재 상태를 바탕으로 그에 맞는 생각과 말이 나옵니다. 부정적인 마음 상태는 부정적인 말과 생각을 낳게 됩니다.
- 시각화 매일 자주 원하는 목표를 머리 속에 그림으로 그려야 합니다. 그림은 잠재의식에 메세지를 전달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도구라 합니다.
- 행동 1,2,3 을 통해 소망에 대한 결과가 찾아 오는데 이때 행동(목표와 일치 하지 않아도 됨.)은 그것을 수확을 하는 과정입니다.
물론 이렇게 말하는 제 자신도 그걸 자주 잊고 힘겹게 일에 매달리기도 합니다. 🙂 그렇기 때문에 현대 성공학에서는 위빠사나 명상(깨어 있음, 마음 챙김)이나 초연한 마음(detachment) 자세를 강조합니다. 깨어 있음을 통해 과거의 습관적인 생각에 빠지지 않도록 스스로를 관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생활 속에서 이런 것들을 연습하고 스스로 돌아보고 수정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련 해야 합니다. 이런 얘기에 분명 논란은 있을 것입니다. 여러가지 사례를 분석해보면 아래 존 맥스웰이 이야기 하는 것 처럼 열심히 노력해서 성공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전 밥 도일의 얘기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분명한 건 우주(신)에게 믿고 맡길 수 있다면 그것이 최상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흠.
제2267호 | 2013.08.29 성공을 위해서는 대가를 미리 지불해야 한다. 낮에 열심히 일하고 밤에도 부지런히 일했다. 노는 것과 많은 즐거움을 포기했다. 새로운 것을 배우기 위해 재미없는 책을 읽었다. 승리를 얻기 위해 조금씩 선두로 나섰다. 믿음과 용기를 가지고 꾸준히 노력했다. 그러나 그가 승리했을 때, 사람들은 그가 운이 좋았다고 말했다. – ‘존 맥스웰의 성공이야기’에서
존 맥스웰은 말합니다. “가치가 있는 성공에는 모두 가격표가 붙어있다. 문제는 항상 그에 대한 대가, 즉 힘든 노동, 희생, 믿음, 그리고 인내 등을 기꺼이 지불하는가 하는 것이다.” 성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대가를 먼저 지불해야 합니다. 출처: 조영탁의 행복한 경영이야기
삶의 목적
낮에는 점심 식사 대신 그 시간을 이용해서 명상을 하는데 무념으로 삼매에 드는 것이 이상적이겠으나 가끔 괜찮은 생각이 떠오르는 얕은 상태의 명상도 좋아합니다. 명상 중에 좋은 생각이 떠오르면 즉시 메모를 하고 페이스북에 올리는데 오늘은 삶의 목적에 대해 한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현대의 성공 기법(아직 우리 말로 적절한 용어를 찾지 못했는데, 뉴에이지 자기계발법?, 에너지 기반의 자기 계발법?)에서는 성공의 방안으로 삶의 목적을 알고 그에 따라 살아가라고 합니다. 다른 말로는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살라’와 같은 의미라 볼 수 있을 겁니다. 이런 흐름은 정신 세계가 아닌 일반적인 세상의 변화하는 트렌드와도 궤를 같이 하고 있다고 봅니다.
대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