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이 좋아진 것일까 ?
기천문(氣天門 ) 전성철 원장의 시연 비디오를 보다가 짧은 순간에 손끝의 움직임에서 무언가를 느꼈다.
일종의 기운의 느낌이랄까 ?
요즘 감각을 키우는 데 시간을 조금 더 쓰면서 감각이 예민해진 것으로 받아들이고 싶다.
좋은 신호로 받아 들이며 더욱 정진할 것을 다짐한다.
대흠.
기천문(氣天門 ) 전성철 원장의 시연 비디오를 보다가 짧은 순간에 손끝의 움직임에서 무언가를 느꼈다.
일종의 기운의 느낌이랄까 ?
요즘 감각을 키우는 데 시간을 조금 더 쓰면서 감각이 예민해진 것으로 받아들이고 싶다.
좋은 신호로 받아 들이며 더욱 정진할 것을 다짐한다.
대흠.
지난 한 달여간 정독을 하고 연습도 따라하던 책을 조금 전 ‘맺는 말’을 끝으로 떼었다. 아직 초보 수준을 벗어나지못했지만 직관에 대해 어느 정도의 이해를 갖게 되었고 로라 데이가 책에서 누차 이야기하는 것들이 정리가 되는느낌이다. ‘직관’ 공부를 시작하는 분들을 위한 서두로 사용해도 좋을 것 같아 올린다.
맺는 말 – 성공을 부르는 비지니스 직관
이 책에서 우리는 당신의 사업과 직업에 관련해서 직관을 사용하는 법에 관해 논했다. 비지니스란 단순히 ‘돈벌이’나 혹은 ‘남보다 앞서기’에 관한 무엇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만족시킴으로써 자신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업가들은 경쟁을 물리치거나 효과적으로 경쟁하는 비결에만 촛점을맞추어서 만사를 바라보는 것 같다. 이것은 한정된 시각이다. 사실은 당신이 자신의 영역을- 당신이 내 놓을 수 있는 것을 원하는시장 -확보하면 누구도 당신과 경쟁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 누구도 당신이 제공할 수 있는 것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직관적인 개인이나 사업은 성공을 거둔다. 왜냐하면 그들은 너무나쉽게 망각되는 단순한 사실, 즉 우리는 인간으로서, 기업으로서, 상품으로서 우리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힘을 합쳐 노력해야 한다는사실을 이해하고, 그렇게 대응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사회 속에서 살고 있으며, 우리의 유용성은 오직 그 사회 속에 있는 우리의진실성의 질만큼 수명을 유지한다.
직관은 당신 자신과 당신의 시장에 관해 당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아내도록 도와주고, 당신으로 하여금 본래의 자신이 되도록 함으로써 변화와 이득을 함께 가져다 준다.
로라 데이.
이게 직관 수련의 범주에 드는 것인지, 화두 선인지 … 마인드콘트롤의 기법과는 좀 다른 것 같고…
이 느낌은 아마도 직관 ?
영상이 떠오르면 마인드콘트롤의 Visualization과 관련이 있고 …
미래에서 과거를 바라보며 능동적 변화를 가할 수 있는가 ?
이건 화두고.
바로 이게 비즈 선 아닌가 ?
대흠.
논리의 답은 경계가 분명하며 직설적,구조적이다. 즉, 개별적인 답들이 논리적 고리에 의해 조합된 구조체이다.
반면 직관의 답은 분리하기 어려운 애매모호하고 뭉뚱그려져 있는 하나의 덩어리이고 따라서 전체적이며 상징적이다.
이것은 동양과 서양 정신문명의 차이며 디지탈과 아날로그의 차이도 이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대흠-
만행. 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 1권 p176 – 현각
선 수행을 통해 모든 생각을 끊고 생각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은 쉽지 않다. 몇십 년 동안 신문,방송,잡지,책등을 통해 내머릿속에 입력된 온갖 지식, 그리고 그것이 빚어내는 망상을 하루 아침에 없애 몸과 정신을 씻어내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숭산스님은바로 공안수행을 통해 우리 머릿속의 온갖 잡생각을 사정없이 뚝뚝 잘라내 제자들이 쉽고 빠르게 진리의 길로 갈 수 있도록 하셨다.온갖 복잡한 생각을 모구 끊어 제자들에게 ‘오직 모르겠다’는 본질적인 마음으로 돌아가게 한다.
한편 화두수행이란 공안질문을 통해 스승이 던지신 질문, 그 실마리를 붙잡고 계속 참구 수행을 하는 것이다. 먹을 때나 일할때나 명상수행할 때나 차를 마실 때나 화두를 강하고 맑게 잡고 있으면 어떤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 불교에서비구, 비구니들은 스승한테 한 가지 화두를 받아 깨달음을 얻을 때까지 참구 수행한다. 앉을 때나 설 때나 잠을 잘 때도 화장실에갈 때도 화두를 잡고 있는다. 그런 화두 수행을 통해 뭔가 깨달음을 얻으면 스승은 그것을 공안을 사용해 테스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