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로스 카스타네다

출처 : ALBABLOG
아마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카를로스 카스타네다라는 인류학자를 기억할지 모르겠습니다. <돈 후안의 가르침>이라는 책을 쓴 인류학자죠. 한국에서 이 책이 번역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책 말고도, <익스뜰란으로 가는 길>도 아마 번역됐을 겁니다. 카스타네다는 브라질 사람이라고도 하고, 페루 사람이라고도 하고, 그리고 어떻게 죽었는지도 불분명한 미스테리한 인물입니다. 그러나 정신의 고양이나 마음을 다스리는 그 모든 생각이나 사유체계에는 카스타네다가 꼭 등장합니다. 
1960년대 UCLA에서 인류학을 공부했었는데 석사학위 Field 조사지로 멕시코 북부 야키족이 살던 곳을 정합니다. 그리고 거기서 돈 후안(Don Juan Matus)라는 야키족 샤만 노인(우리로 치면 무당)을 만납니다. 그는 이 노인과의 만남을 통해서 자기가 태어나고 교육받은 서구의 우월의식, 이성주의에 기반한 삶이 얼마나 잘못됐는지 깨닫게 됩니다. 이 인디언 노인과의 만남을 통해서 자신이 깨쳐가는 과정을 그린 책이 바로 유명한 <돈후안의 가르침>입니다.  여러분들도 아시지만 인류학자의 학문대상은 누구일까요? 대부분 후진국,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미개부족 아닙니까? 인류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의식적으로는 그렇게 행동하지 말라고 훈련을 받지만 무의식적으로 이런 지역의 사람들을 열등하다거나, 깔보고, 가르치고 계몽할 대상으로 생각합니다. 실제 19세기, 20세기 초 제국주의 시대에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지 개척에는 군인, 선교사 뿐만 아니라 인류학자들도 많이 기여했습니다. 인류학자들의 이런 의식이나 상황은 지금에는 많이 바뀌기는 했지만 아직도 여전합니다. 저 포함해 누구도 예외가 아닐지 모르지요.
아무튼, 카를로스 카스타네다도 바로 이런 서구적 교육을 받은 전형적인 사람으로서, 자기가 필드로 정한 북부 멕시코 인디언 마을이나 사람들은 단지 자신의 논문을 위한 인터뷰, 관찰 대상으로만 간주되게 되지요. 그러나 카스타네다는 이 돈후안이라는 노인을 만나 그와 소통하면서 자신의 모든 전존재가 변모하게 됩니다. 처음 시작이야  물론 서구문명과 지식을 앞세운 우쭐한 햇병아리 학자 카스타네다가 미개하고 우둔한 사람들을 가르친다는 교사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시간이 점점 갈수록, 돈후안은 그에게 세계를 똑바로 바라볼 수 있는 맑은 눈을 갖게하는 스승의 위치로 바뀌지요. 이들이 만나서 하는 대화(침묵, 마약까지 포함해서)는 참으로 아름답고 감동적입니다.
어찌 보면 저는 젊은 나이때부터 밖에서 많이 산 편인데, 거기서, 기존의 아카데미보다는 이런저런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함께  대화하고, 느낀 것에서 더 배운 것이 많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옛날 어디선가 “사람은 만나면서 큰다”라는 글귀를 본 적이 있는데, 아마도 인생의 많은 역정 가운데서 그들한테서 체험적으로 배운 것이 있다면 그건 코스모폴리탄적이 아닌 유니버설, 즉 보편적인 삶을 살라는 사실일 겁니다.

포켓ⓒ

——————————————-

편집자주) 이 글은, 원저자의 동의하에, 별도로 편집,게재된 글입니다. 불법적인 펌글이나 스크랩이 절대 아님을 밝히는 바이오니,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루시드 드림에 관한 책 두권

루시드 드림에 관한 책 두권

루시드 드림(Lucid Dream). 자각몽이라고도 부른다. 생생한 꿈, 자신이 꿈을 꾸고 있다는 걸 의식하는 꿈.

갑작스레 필요가 생겨 동료한테 빌려 보고 있는데… 배울게 없는 건 아니지만 왼쪽은 좀 가볍고 오른쪽 책은 깊다.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우리가 사는 세상과 전혀 다른 차원, 세계의 존재들과 만나는 경험에 대해 말하고 있다.

카를로스 카스타네다라는 미국의 인류학자가 멕시코 마법사 돈 후앙으로 부터 꿈수행에 대한 가르침을 받는 과정 중에 나누는 대화를 기술한 내용. 이 책은 전세계 800만부가 팔렸다고 한다. 최근 영화 인셉션이나 매트릭스가 이 책으로 부터 아이디어를 얻어 만들어졌을 것 같단 생각이다.

꿈수행 일곱 단계 중 두번째 단계를 읽고 있다. 수행 중 주의사항이 있는데 자칫하여 길을 잃으면 돌아오지 못한다고 한다. 가이드나 스승없이 혼자 연습할 경우 무척 조심하든지… 아님 처자 먹고 살 거 다 만들어 놓고 세상에서 사라질 각오로 하든지…

현대 양자물리학이나 천체물리학에서 말하는 평행우주가 꿈수행을 통해 방문하는 아주 낯선 세계들이 아닐까 생각된다.

대흠.

Yesterday Once More

윤형주, 이장희, 양희은 등 소위 쎄시봉파가 라디오 음악 프로를 장악하던 시절.

사람들은 엽서를 보내 음악 신청을 했죠. 그러다가 우연히 좋아하는 노래가 라디오에서 흘러 나오면 그 기쁨은 지금도 잊을 수 없죠. 요즘처럼 손 몇번 놀리면 원하는 음악은 언제든 들을 수 있는, Music on Demand 시대에는 결코 그 감흥을 느낄 수 없을 겁니다.

바로 그런 얘기를 카펜터스가 하고 있습니다. 가을 이 맘때 찾아 듣는 노래입니다. Yesterday Once More….

대흠.
 

Story of Issac by Leonard Cohen

“천천히 문이 열리고 아버지가 들어오셨다.

나는 아홉살이었다.”

이렇게 시작하는 레너드 코헨의 ‘이삭 이야기’

이삭(Isaacs)은 성경에 나오는 인물로 아브라함이 100세때 나은 아들이라 한다.


The door it
opened slowly,my father he came in

I was nine
years old.

And he
stood so tall above me,blue eyes they were shining

And his
voice was very cold.

Said,”I`ve
had a vision and you know I´m strong and holy,

I must do
what I´ve been told”.

So he
started up the mountain,I was running,he was walking,

And his axe
was made of gold.

 

Well,the
trees they got much smaller,the lake a lady´s mirror,

We stopped
to drink some wine.

Then he
threw the bottle over,broke a minute later

And he put
his hand on mine.

Thought I
saw an eagle but it might have been a vulture,

I never
could deside.

Then my
father built an altar,he looked once behind his shoulder,

He knew I
would not hide.

 

You who
build the altars now to sacrifice these children,

You must
not do it anymore.

A sheme is
not a vision and you never have been tempted

By a demon
or a god.

You who
stand above them now,youre hatches blunt and bloody,

You were
not there before,

When I lay
upon a mountain and my father´s hand was tremblin´

With the
beauty of the word.

 


행복, 바다의 협주곡 그리고 김세원

@egoing님의 트윗을 보다가 옛날 생각이 나서 급 포스팅!!

중학교,고등학교 시절에 당시 김세원이란 유명한 라디오 진행자의 프로그램에 음악과 함께 시를 읽어주는 코너가 있었다. 그때 장 끌로드 보렐리의 트럼펫 연주 ‘바다의 협주곡’을 알게 되었고 유치환 시인의 ‘행복’이란 시도 알게 되었는데 가끔 그때를 회상해 본다. 지금 디지털 세계에서는 느낄 수 없는 아름다운 추억이다.

대흠.

행복 / 유치환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느니보다 행복 하나니라
오늘도 나는
에메랄드 빛 하늘이 환히 내다뵈는
우체국 창문 앞에 와서 너에게 편지를 쓴다.

행길을 향한
문으로 숱한 사람들이

제 각기 한 가지씩 생각에 족한 얼굴로 와선
총총히 우표를 사고 전보지를 받고

고향으로 또는그리운 사람에게로

슬프고 즐겁고 다정한 사연들을 보내나니
세상의 고달픈 바람결에 시달리고 나부끼어
더욱 더 의지 삼고 피어 헝클어진 인정의 꽃밭에서
너와 나의 애틋한 연분도
한 방울 연연한 진홍빛 양귀비 꽃 인지도
모른다.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느니 보다 행복 하나니라
오늘도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쓰나니
그리운 이여 그러면 안녕
설령 이것이 이 세상 마지막 인사가 될지라도
사랑했으므로 나는 진정 행복 하였네라.

정태춘 – 실향가

정태춘 – 실향가

저 언덕 바로 너머에 봄이 서성대는 소리가 들립니다. 
꿈같은 아지랭이를 앞세우고 봄은 올 것입니다.
긴 겨울이 가고 아지랭이 피어 오르는 새봄이 올때면 찾아 듣는 노래입니다.
 
도시에서 자라나 고향이랄 것도 없지만 들으면 들을수록 가슴을 울리는 노래.

대흠.

듣기

실향가

고향 하늘에 저 별, 저 별
저 많은 밤 별들
눈에 어리는 그 날, 그 날들이
거기에 빛나네
불어오는 겨울 바람도 상쾌해
어린 날들의 추억이 여기 다시
춤을 추네
춤을 추네

저 맑은 별 빛 아래
한 밤 깊도록 뛰놀던 골목길
그 때 동무들 이제 모두 어른 되어
그 곳을 떠나고
빈 동리 하늘엔 찬 바람 결의
북두칠성
나의 머리 위로
그 날의 향수를 쏟아 부어
눈물 젖네
눈물 젖네

나의 옛집은
나도 모르는 젊은 내외의 새주인 만나고
바깥 사랑채엔
늙으신 어머니, 어린 조카들, 가난한 형수님
아버님 젯상엔 둘러 앉은 객지의 형제들
한 밤의 정적과 옛 집의 사랑이 새삼스레
몰려드네
몰려드네

이 벌판 마을에
긴 겨울이 가고 새 봄이 오며는
저 먼 들길 위로
잊고 있던 꿈 같은 아지랭이도 피어오르리라
햇볕이 좋아 얼었던 대지에 새 풀이 돋으면
이 겨울 바람도, 바람의 설움도 잊혀질까
고향집도
고향집도

(1981년 12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