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는 창조의 근원
물질 현실은 생각, 감정, 오감에 의해 창조되고 생각, 감정, 오감은 참나의 작용이다.
고로 참나는 창조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물질 현실은 생각, 감정, 오감에 의해 창조되고 생각, 감정, 오감은 참나의 작용이다.
고로 참나는 창조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제가 어릴 때 엔돌핀 이야기로 한때 유명세를 탔던 기독교 장로 이상구 박사가 목회자를 대상으로 한 양자물리학 강의 동영상을 2012년에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개념적인 설명에 잘못이 있다고 말할 수는 없었지만 양자물리학을 기독교적 좁은 틀에 가둬 놓고 독점하는 태도가 교회 특유의 독선과 아집을 보여주는 것 같아서 씁쓸했던 기억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양반 사고(?)친 동영상 강의가 하나 더 보입니다. 이번에는(2011년 동영상) 氣 분야까지 오지랖을 넓히는군요. 일반 기독교인들에게 ‘기’ 하면 귀신 얘기 취급받기 일쑤인데, 그런 면에서 볼 때 파격적인 주제를 꺼낸 것 같지만 혹시하고 들어 보니 ‘역시’ 군요. 양자물리학 강의 때 못지 않은 말장난을 하네요.
힘(진리)=氣?
기는 진리에서 나온다고 하는데 거기까진 그럭저럭 봐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기들이 말하는 진리에서 나오지 않은 다른 기는 모두 가짜라는 식으로 매도를 합니다. 기 자체가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이니 모든 기는 진리(하나님)에서 나온다고 수 있을 겁니다. 문제는 기공사들이 운용하는 기가 엉터리라고 호도하는데 얘길 들어보면 기를 제대로 경험해 본 적이 없이 주워들은 걸로 땜질을 하고 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선구자적 실험정신으로 양자물리학이나 기를 기독교 분야에 끌어 들이는 것 같아 보이지만 탐구자적 겸손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氣라는 거대 담론이 요구되는 개념을 자신의 편리에 따라 적당히 잘라 끼워 맞추거나 배제하면서 이야기를 꾸밉니다. 동영상 중 20분 부분 부터 기 이야기를 하는데 몇분 보다가 더 볼 가치도 없고 시간 낭비란 생각이 들어 꺼버렸습니다.
그가 할 수 있는 얘기는 “기는 진리(우주, 하나님)로부터 나왔다.” 딱 거기까지입니다.
[embedplusvideo height=”400″ width=”752″ editlink=”http://bit.ly/PQ81WN” standard=”http://www.youtube.com/v/eVLpdkl70ew?fs=1&start=1260″ vars=”ytid=eVLpdkl70ew&width=752&height=400&start=1260&stop=&rs=w&hd=0&autoplay=0&react=1&chapters=1800,1980&id=”ep3061″ /]
그런데 이 포스팅 초안을 써놓고 놀려 두고 있다가 갑자기 홍익학당의 윤홍식 선생이 기에 대해 강의 한 내용이 있을 것 같단 생각이 들어 검색해보니 ‘리(理)와 기(氣)’에 대한 조선시대 성리학 강의가 보이네요. 이걸 보고 이상구 장로의 얘기를 다시 생각해 보았습니다.
‘기는 진리에서 나온다’란 말은 성리학의 리(理)와 기(氣) 중 理 즉, ‘원리’, ‘형이상학’ 과 대응이 되는 말입니다. 반면 그가 엉터리라고 하는 기공사들이 부리는 기(氣)는 성리학에서 말하는 형이하학에 해당하는 氣에 속하는 것이더군요. 즉, 기독교적 관점은 도덕 감정인 리(理)가 발현하면 본능 감정인 기(氣)는 리(理)에 따르는 즉, 리(理)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퇴계 이황의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가깝단 생각입니다. 반면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을 주장하는 율곡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했습니다.
이황보다 35세 후배인 율곡(栗谷) 이이는 ‘이(理)’의 절대성을 부정하고 물질적이고 경험적인 ‘기(氣)’의 작용에 따라 착해지기도 하고 악해지기도 한다고 주장하였다. 다시 말해 형이하(形而下)의 현실이 형이상(形而上)의 관념세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형이하의 세계를 개혁해야 형이상이 바로 설 수 있다는 제도개혁사상으로 연결되었다. -출처: 위키백과 조선의 성리학
[embedplusvideo height=”400″ width=”752″ editlink=”http://bit.ly/1n01HHM” standard=”http://www.youtube.com/v/lm3Dbc-YC3M?fs=1″ vars=”ytid=lm3Dbc-YC3M&width=752&height=400&start=&stop=&rs=w&hd=0&autoplay=0&react=1&chapters=1800, 1980&id=”ep7872″ /]
기에 대한 폄하는 무지의 소치로 생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 기공사들이 운용하는 기가 효과가 없다고 단정짓기에는 제 자신의 체험을 포함하여 너무나 많은 사례들이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이상구 장로의 기에 대한 지식은 지극히 편중되고 사실을 왜곡하고 있으며 겸손함은 찾아 볼 수 없는 오만과 독선에 근거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끝으로 기의 세계를 잘 보여주는 글이 있어 첨부합니다.
PS. 어쨌든 이상구 장로 덕분에 조선왕조 철학의 근간인 성리학과 그 위대함에 대해 알게 되었네요. 홍익학당 동영상을 끝까지 보시길 힘들면 율곡의 철학 사상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개인차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방법이 아주 단순하고 몰입도가 높은 명상법이라 생각합니다.
오직 모를 뿐… 고요하고 평온한 존재만 느낍니다. 그 자리가 바로 우리 본래의자리, 참나의 자리입니다.
대흠.
그동안 방대한 분량의 동영상 강의를 유튜브 등을 통해 무료로 배포했던 홍익학당이 이제 유료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하네요. 그동안은 DVD나 책자 판매 그리고 회비 등으로 수익을 삼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홍익학당은 공익단체의 성격이 강하지만, 강의 하시는 윤홍식 선생도 생활을 위한 돈이 필요할테고 동영상 촬영/편집, 웹사이트 운영 등을 하는 스텝들도 노동의 댓가가 있어야 하고 기타 학당 운영을 위한 경비 등도 필요하겠죠.
지금 세상에 돈이 없으면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죠. 세상에 나온 이상 누구나 수익 모델을 고민해야 합니다. 이왕 시작했으면 프로같이 사업을 해서 번창해야 됩니다. 엉성하게 하면 오래갈 수가 없지요. 그러거 저런거 다 싫으면 산으로 들어가든지요. 말이 산이고 방 안에 들어 앉은 것이 산에 있는 겁니다.
현재 우리나라 유료 콘텐츠 시장이 초기 단계고 영적인 분야의 시장 수요가 극히 제한적이지만 열성적인 매니아들이 포진하고 있어서 사랑을 받을 수있는 서비스로 자릴 잡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윤홍식 선생의 고전 강의 콘텐츠는 명쾌한 설명, 다양하고 풍부한 지식, 그리고 동영상의 음질, 화질, 강의 구성 등 모든 면에서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2000원 정도는 기꺼이 지불할 수 있죠.
아래 Preview 버튼 눌러 봤는데 재미있는 얘기가 나오네요. 여당일 때 야당일 때 얘기가 달라지는데 입장이 바뀌면 당연한거다 하면서, 야당이나 여당일 때 똑 같은 목소리를 낼 수 있다면 그게 바로 도인이라 합니다. 근데 그게 그렇게 어려울까요? 주역 강의하면서 점치는 법도 가르쳐 줄 것이라 하네요. 정도는 아니지만 세인의 관심을 끌어들이는 것도 중요하죠. 그걸 무시하면 역시 산속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홍익학당이 이익을 추구하는 단체는 아니기 때문에 지나치게 상업적으로 나서진 않을 겁니다. 개인적으론 조금 상업성을 띤다 하더라도 그런 걸 문제 삼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자신들은 상업적인 걸 추구하면 살고 이런 영적인 콘텐츠를 한다고 해서 청빈해야 한다는 건 어불성설이죠.
홍익학당의 번성을 기원합니다.
대흠.
글 퍼온 곳: http://buddhastudy.egloos.com/3943545
예. 다 같이 하시면 제일 좋고요. 우리가 순서를 학당에다 올려놨는데요. 올려놨는데 거기에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견성에 해당되는 부분이죠. 깨어있음을 하시고, 사단을 닦으시고, 또 호흡도 하시라고. 지금 ‘홍익학당에서 권장하는 수련’해서 이렇게 제가 소개해드렸는데요. 사실은 이 세 개를 같이 하시면 되요. 같이 하시면 되는데 과목이 세 과목을 동시에 공부하시려니 까 이게 혼동을 많이 느끼시는 분이 있더라고요. 혼동 안 느끼시는 분은 이걸 그냥 같이 하시면 됩니다. 우리 10분 명상에 다 들어있지 않습니까? 호흡 관하다가 호흡에 몰입하면서 깨어나고. 그리고 또 참나를 느끼다가 호흡이 의식되면 다시 호흡을 하시고.
호흡을 바라보는 참나가 또 환하게 드러나시면 [모른다]가 잘되시면 또 [몰라]해서 참나만 만끽 하시고. 이렇게 호흡과 같이 참나를 같이 병행하는 게 제일 좋습니다. 사실은. 그런데 이제 여기까지 좋은데. 우리가 이제 여기서 말하는 호흡이라는 게 단학에 기초가 되니까. 우리 학당에서 호흡을 늘려가지 않습니까? 2초2초 3초3초. 이 호흡을 늘리는 거는 공정이 좀 다릅니다. 깨어있음은 [모른다]만 하시면 되죠. 내려놓으시면 되요. 깨어있음은 그래서 우리가 어려운 말로 무위법 그럽니다. 아무것도 안 하면 깨어나요. 생각이 에고만 멈추면 깨어나게 되어있어요. 그런데 이쪽은 어떤가요? 호흡은?
이제 호흡을 바라봐서 호흡을 통해 무위를 이루는 도구로 쓸 때는 괜찮은데, 호흡을 에너지를 늘리는 수단으로 호흡을 단학적으로 접근하실 때는 2초-2초에서 1분-1분. 이렇게까지 호흡을 늘려 가셔야 되거든요. 호흡이 길어지면서 단전의 폐기량, 모이는 에너지량이 늘어납니다. 그러면 이거는 유위법이죠. 하나하나 닦아가는 공부고. 유위법은 에고로 하는 겁니다. 무위법은 순수 참나 상태에 들어가는 거고요. 참나만이 무위죠. 뭔가를 할 땐 에고가 있어야죠. 호흡이 있다면 호흡에 대한 어떤 주관으로서 에고가 필요합니다. 호흡은 내호흡이 남의 호흡이 아니니까요. 대상에 서면 에고도 서요. 대상도 에고도 다 놔버리면 무위고요.
나가 있으면 남이 있기 때문에 호흡이 있으면 호흡을 관리해야 하는 또 에고가 같이 작동합니다. 이러니까 이 단학은 좀 힘들어하시는 분도 있어요. 처음에. 2초-2초 하려다가 하다가 좀 하다가 3초-3초로 바로 늘려보시고. 오늘 잘되네. 4초-4초, 잘되네. 올라갔다가 내일 안 되네 하고 푹 꺼지고. 이런 에고가 뭘 만들어가다 보니까 에고가 절제를 잘 못하면 이 수행이 아주 힘들어지는 수행이 되요. 절대 욕심내지 마시고 한 시간, 두 시간 해보셔도 그 호흡이 정말 편안하실 때 다음 호흡으로 나아가시고 이렇게. 단학을 닦아가야 되는데 그러려면은 문제가 많죠. 내려놓기만 이 공부가 안 이루어지죠. 에고 잘 관리해야 됩니다. 정말.
하루하루 체크하셔가지고요. 오늘은 몇 초가 되네. 오늘은 어떤 컨디션의 난조로 몇 초까지 밖에 안 되네. 이거를 하시면서 적어가시면서 평균치가 조금씩 늘어가는, 정말 편하게 되는 호흡이 평균치가 늘어가면서, 단학이 조금씩 닦여가거든요. 이건 에고로 닦는 공부죠. 당연히 근원은 참나지만 에고가 작용하는 공부입니다. 그래서 이 에고를 통해서 닦는 이런 공부는 처음 하실 때 조금 힘들어하실 수가 있어요. 그래서 학당에서 권장하는 순서인 겁니다. 원래 학문의 순서는 같이 해야 되요. 이거 먼저 하다가 이거하고 그렇게 해도 되요. 저는 그렇게 했어요. 저는 단학부터 배웠기 때문에 호흡관리부터 먼저 하다가.
그런데 호흡만 관리하다 보니까 깨어날 수밖에 없지 않나요? 호흡 한 놈만 보고 있는데. [몰라]에서 깨어나져 버립니다. 다른 생각이 다 놔지고 하나만 보이면 깨어나요. 우리가. [몰라] 완전히 [몰라]해도 깨어나죠. 주객을 다 놔버려도 깨어나지만 한 놈만 봐도 깨어납니다. 왜냐? 에고는 한 번에 순간적으론 하나만 보겠지만, 고속으로 이렇게 주제를 넘나들면서 다른 대상들을 찾아 다녀요. 에고의 본성이. 그런데 하나만 보라고 하면 에고가 할 말을 잃어버려요. 그러니까 여러분이 정말 기가 막힌 음식을 먹으면 어떻게 됩니까? “우와~” 해서 다른 생각이 안 나시죠? 멈춰요. 에고가 궁시렁 댐을 멈추면 그때 깨어나시는 겁니다.
아주 위대한 예술이나 뭘 보셨을 때 우리가 감동하는 거는 깨어나서 그래요. 참나에서 부터 희열이 올라옵니다. 무의식이 다 녹아져요. 무의식에 있던 찜찜함이 없어지면서 초의식에서 부터 그 근원적인 기쁨이 올라오는데, 찰나라 할지라도 이런 과정이 일어납니다. 명상할 때는 더하죠. 의도적으로 생각을 멈춰버리니까. 참나가 그대로 드러나는데. 요령은 한 가지만 보게 하는 겁니다. 명상의 요령은. 하나만 보게 했다가 요건 [몰라]해버리면 깨어있음만 남아요. 더 쉬운 법은 [몰라]. 완전히 다 내려놔버리는, 아무것 도 안 세우는 법도 있지만, 하나만 세우거나 아무것도 안 세워버리면 깨어나는데, 호흡은 호흡만 집중한다고 단학이 되어있는 게 아니죠. 길이관리까지 해야 되잖아요.
그래서 이 섬세한 에고가 절제된 에고의 관리가 필요해요. 그래서 처음에 이 단학공부가 힘들어 하신 분들은 먼저 깨어나시라고 제가 의도하고 보편적으로 이걸(깨어있음) 제일 먼저 합니다. 왜냐? 이해되시죠? 2초-2초에서 3초-3초로 올리고 싶은 욕망이 일어나실 때 어떻게 하셔야 되겠습니까? [몰라]. ]괜찮아]. 자기 에고를 다독이면서 호흡을 조금씩 늘려나가셔야 돼. 단학은 이 에고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러려면 깨어있음이 되신 분들이 훨씬 잘하세요. 이 자연스러운 결을 말씀다리는 겁니다. 저도 단학부터 배웠지만, 단학 배울 때도 이거 먼저 하라고 해요. 그런데 이걸 무시해요. 빨리 호흡 늘리고 싶은 욕심에. 저거 무시하고 했죠. 저도. 힘들죠. 할 때마다 힘들죠. 늘 욕망과 싸워야 되고. 나는 그 욕망을 다루는 기술이 부족하고.
[몰라] [괜찮아] 잘하시는 분은 호흡도 잘하실 수밖에 없습니다. 욕망이 올라올 때 [몰라]. [괜찮아]. 책 하나 보시더라도 깨어있는 분은 효과적으로 읽습니다. 지금 페이지를 보는데 뒤페이지 보고 싶다. 결과가 궁금하다. [몰라]. [괜찮아]. 하고 지금 페이지에 집중하시면 빨리 읽는데. 계속 뒤에 앞에 이렇게 넘겨보는 분들 진도도 안 나가고 내용도 이해가 잘 안되고 뒤죽박죽이 됩니다. 찜찜한 상태에 빠져요. 그러니까 깨어있음 잘하시고 그 다음 호흡하시라는 게 이해 돼지죠? 사단도 그래요. 사단도 내 에고를 관리하는 거잖아. 인의예지를 표현하려면 내 에고가 같이 협조해야 되는 거지 않습니까?
그래서 이 깨어있음이 튼튼하시면 사단이나 사단도 참나의 뜻대로 에고를 관리하는 거고. 호흡도 참나의 뜻에 맞게 에너지를 관리하는 거기 때문에 호흡을 조절하는 거기 때문에 깨어있음이 가장 먼저 이루어지시고 그 다음 사단과 이 호흡을 닦으시면 좋겠다. 하는 이게 이거는 이상적인 순서고. 나는 할만하다. 같이. 병행할만하다. 하시면 병행하시면 됩니다. 이해되시죠? 그런데 혹시라도 3과목을 동시에 공부하려니까 좀 벅차다 싶으시며 요거(깨어있음) 하나에만 먼저 집중하십시오. 그 다음에 요거(사단) 요거(호흡) 하면은 자연스럽게 이 세 개의 학문을 다 닦게 되어있습니다. 요 정도만 말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