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 다 같이 하시면 제일 좋고요. 우리가 순서를 학당에다 올려놨는데요. 올려놨는데 거기에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견성에 해당되는 부분이죠. 깨어있음을 하시고, 사단을 닦으시고, 또 호흡도 하시라고. 지금 ‘홍익학당에서 권장하는 수련’해서 이렇게 제가 소개해드렸는데요. 사실은 이 세 개를 같이 하시면 되요. 같이 하시면 되는데 과목이 세 과목을 동시에 공부하시려니 까 이게 혼동을 많이 느끼시는 분이 있더라고요. 혼동 안 느끼시는 분은 이걸 그냥 같이 하시면 됩니다. 우리 10분 명상에 다 들어있지 않습니까? 호흡 관하다가 호흡에 몰입하면서 깨어나고. 그리고 또 참나를 느끼다가 호흡이 의식되면 다시 호흡을 하시고.
호흡을 바라보는 참나가 또 환하게 드러나시면 [모른다]가 잘되시면 또 [몰라]해서 참나만 만끽 하시고. 이렇게 호흡과 같이 참나를 같이 병행하는 게 제일 좋습니다. 사실은. 그런데 이제 여기까지 좋은데. 우리가 이제 여기서 말하는 호흡이라는 게 단학에 기초가 되니까. 우리 학당에서 호흡을 늘려가지 않습니까? 2초2초 3초3초. 이 호흡을 늘리는 거는 공정이 좀 다릅니다. 깨어있음은 [모른다]만 하시면 되죠. 내려놓으시면 되요. 깨어있음은 그래서 우리가 어려운 말로 무위법 그럽니다. 아무것도 안 하면 깨어나요. 생각이 에고만 멈추면 깨어나게 되어있어요. 그런데 이쪽은 어떤가요? 호흡은?
이제 호흡을 바라봐서 호흡을 통해 무위를 이루는 도구로 쓸 때는 괜찮은데, 호흡을 에너지를 늘리는 수단으로 호흡을 단학적으로 접근하실 때는 2초-2초에서 1분-1분. 이렇게까지 호흡을 늘려 가셔야 되거든요. 호흡이 길어지면서 단전의 폐기량, 모이는 에너지량이 늘어납니다. 그러면 이거는 유위법이죠. 하나하나 닦아가는 공부고. 유위법은 에고로 하는 겁니다. 무위법은 순수 참나 상태에 들어가는 거고요. 참나만이 무위죠. 뭔가를 할 땐 에고가 있어야죠. 호흡이 있다면 호흡에 대한 어떤 주관으로서 에고가 필요합니다. 호흡은 내호흡이 남의 호흡이 아니니까요. 대상에 서면 에고도 서요. 대상도 에고도 다 놔버리면 무위고요.
나가 있으면 남이 있기 때문에 호흡이 있으면 호흡을 관리해야 하는 또 에고가 같이 작동합니다. 이러니까 이 단학은 좀 힘들어하시는 분도 있어요. 처음에. 2초-2초 하려다가 하다가 좀 하다가 3초-3초로 바로 늘려보시고. 오늘 잘되네. 4초-4초, 잘되네. 올라갔다가 내일 안 되네 하고 푹 꺼지고. 이런 에고가 뭘 만들어가다 보니까 에고가 절제를 잘 못하면 이 수행이 아주 힘들어지는 수행이 되요. 절대 욕심내지 마시고 한 시간, 두 시간 해보셔도 그 호흡이 정말 편안하실 때 다음 호흡으로 나아가시고 이렇게. 단학을 닦아가야 되는데 그러려면은 문제가 많죠. 내려놓기만 이 공부가 안 이루어지죠. 에고 잘 관리해야 됩니다. 정말.
하루하루 체크하셔가지고요. 오늘은 몇 초가 되네. 오늘은 어떤 컨디션의 난조로 몇 초까지 밖에 안 되네. 이거를 하시면서 적어가시면서 평균치가 조금씩 늘어가는, 정말 편하게 되는 호흡이 평균치가 늘어가면서, 단학이 조금씩 닦여가거든요. 이건 에고로 닦는 공부죠. 당연히 근원은 참나지만 에고가 작용하는 공부입니다. 그래서 이 에고를 통해서 닦는 이런 공부는 처음 하실 때 조금 힘들어하실 수가 있어요. 그래서 학당에서 권장하는 순서인 겁니다. 원래 학문의 순서는 같이 해야 되요. 이거 먼저 하다가 이거하고 그렇게 해도 되요. 저는 그렇게 했어요. 저는 단학부터 배웠기 때문에 호흡관리부터 먼저 하다가.
그런데 호흡만 관리하다 보니까 깨어날 수밖에 없지 않나요? 호흡 한 놈만 보고 있는데. [몰라]에서 깨어나져 버립니다. 다른 생각이 다 놔지고 하나만 보이면 깨어나요. 우리가. [몰라] 완전히 [몰라]해도 깨어나죠. 주객을 다 놔버려도 깨어나지만 한 놈만 봐도 깨어납니다. 왜냐? 에고는 한 번에 순간적으론 하나만 보겠지만, 고속으로 이렇게 주제를 넘나들면서 다른 대상들을 찾아 다녀요. 에고의 본성이. 그런데 하나만 보라고 하면 에고가 할 말을 잃어버려요. 그러니까 여러분이 정말 기가 막힌 음식을 먹으면 어떻게 됩니까? “우와~” 해서 다른 생각이 안 나시죠? 멈춰요. 에고가 궁시렁 댐을 멈추면 그때 깨어나시는 겁니다.
아주 위대한 예술이나 뭘 보셨을 때 우리가 감동하는 거는 깨어나서 그래요. 참나에서 부터 희열이 올라옵니다. 무의식이 다 녹아져요. 무의식에 있던 찜찜함이 없어지면서 초의식에서 부터 그 근원적인 기쁨이 올라오는데, 찰나라 할지라도 이런 과정이 일어납니다. 명상할 때는 더하죠. 의도적으로 생각을 멈춰버리니까. 참나가 그대로 드러나는데. 요령은 한 가지만 보게 하는 겁니다. 명상의 요령은. 하나만 보게 했다가 요건 [몰라]해버리면 깨어있음만 남아요. 더 쉬운 법은 [몰라]. 완전히 다 내려놔버리는, 아무것 도 안 세우는 법도 있지만, 하나만 세우거나 아무것도 안 세워버리면 깨어나는데, 호흡은 호흡만 집중한다고 단학이 되어있는 게 아니죠. 길이관리까지 해야 되잖아요.
그래서 이 섬세한 에고가 절제된 에고의 관리가 필요해요. 그래서 처음에 이 단학공부가 힘들어 하신 분들은 먼저 깨어나시라고 제가 의도하고 보편적으로 이걸(깨어있음) 제일 먼저 합니다. 왜냐? 이해되시죠? 2초-2초에서 3초-3초로 올리고 싶은 욕망이 일어나실 때 어떻게 하셔야 되겠습니까? [몰라]. ]괜찮아]. 자기 에고를 다독이면서 호흡을 조금씩 늘려나가셔야 돼. 단학은 이 에고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러려면 깨어있음이 되신 분들이 훨씬 잘하세요. 이 자연스러운 결을 말씀다리는 겁니다. 저도 단학부터 배웠지만, 단학 배울 때도 이거 먼저 하라고 해요. 그런데 이걸 무시해요. 빨리 호흡 늘리고 싶은 욕심에. 저거 무시하고 했죠. 저도. 힘들죠. 할 때마다 힘들죠. 늘 욕망과 싸워야 되고. 나는 그 욕망을 다루는 기술이 부족하고.
[몰라] [괜찮아] 잘하시는 분은 호흡도 잘하실 수밖에 없습니다. 욕망이 올라올 때 [몰라]. [괜찮아]. 책 하나 보시더라도 깨어있는 분은 효과적으로 읽습니다. 지금 페이지를 보는데 뒤페이지 보고 싶다. 결과가 궁금하다. [몰라]. [괜찮아]. 하고 지금 페이지에 집중하시면 빨리 읽는데. 계속 뒤에 앞에 이렇게 넘겨보는 분들 진도도 안 나가고 내용도 이해가 잘 안되고 뒤죽박죽이 됩니다. 찜찜한 상태에 빠져요. 그러니까 깨어있음 잘하시고 그 다음 호흡하시라는 게 이해 돼지죠? 사단도 그래요. 사단도 내 에고를 관리하는 거잖아. 인의예지를 표현하려면 내 에고가 같이 협조해야 되는 거지 않습니까?
그래서 이 깨어있음이 튼튼하시면 사단이나 사단도 참나의 뜻대로 에고를 관리하는 거고. 호흡도 참나의 뜻에 맞게 에너지를 관리하는 거기 때문에 호흡을 조절하는 거기 때문에 깨어있음이 가장 먼저 이루어지시고 그 다음 사단과 이 호흡을 닦으시면 좋겠다. 하는 이게 이거는 이상적인 순서고. 나는 할만하다. 같이. 병행할만하다. 하시면 병행하시면 됩니다. 이해되시죠? 그런데 혹시라도 3과목을 동시에 공부하려니까 좀 벅차다 싶으시며 요거(깨어있음) 하나에만 먼저 집중하십시오. 그 다음에 요거(사단) 요거(호흡) 하면은 자연스럽게 이 세 개의 학문을 다 닦게 되어있습니다. 요 정도만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오늘 아침 양치질을 하는데 나(에고)에 대한 피로감이 살짝 느껴졌다. 영혼이 보내는 미세한 신호를 알아챈 것이다. 그런데 왜? 필름을 거꾸로 돌려보니 어제 저녁 페이스북 그룹 @용호비결공부방에 댓글로 너무 많은 얘기를 해서 그런 것 아닌가 생각된다. 이런 신호는 과거에도 수없이 있었을텐데 그걸 알아챘다는 건 각성 능력이 좋아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증거다. -대흠
자각몽이란 자신이 꿈을 꾸고 있는 것을 인식하는 꿈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정신적 명료성을 뜻하는 “lucid”란 단어를 사용한 프레데릭 에덴(Frederik van Eeden)의해서 만들어졌다. 의식의 명료성(Lucidity)은 흔히 어떤 꿈이 진행되는 한 중간에 시작하며, 꿈꾸는 사람이 그 경험을 물리적인 실재로 받아들이지 않고 하나의 꿈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각몽은 일반적인 명상수행법과 같이 깨어있는 상태에서 잠재의식 영역으로 진행해 들어가 꿈 또는 시각적인 영상을 인식하는 아스트랄 투사(astral projection)와는 달리, 잠재의식 또는 꿈을 꾸는 상태에서 각성의 단서를 훈련하여 의식의 깨어있는 상태로 꿈을 탐사하는 방법이다. 자각몽은 때때로 꿈꾸는 사람에 의해서 경험되는 불가능한 어떤 사건, 즉 유체 비행 또는 죽은 사람을 만나거나 어떤 장소의 여행 그리고 유체이탈과 유사한 생리적 변화를 동반하기 때문에 유체이탈의 한 과정으로서 간주한다.
자각몽과 아스트랄 투사는 자신의 잠재의식 또는 꿈에서 경험되는 여러 가지 사건들과 접촉하고 이를 탐구하게 된다. 신지학적인 용어로는 인간의 개인적인 인격(또는 개성)을 구성하는 요소는 원인체와 멘탈체, 아스트랄체 그리고 육체(에텔체 포함)로 분류한다. 원인체는 개성의 원형이 형성되기 이전의 무의식적 근본 자성(삼스카라 또는 행업), 욕망의 덩어리(또는 홀로그램)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는 존재한다’는 에고 의식(아이덴터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에고 의식은 현상세계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연유하며 욕망의 씨앗으로만 존재한다. 이 씨앗이 적당한 환경과 시기가 오면 자신의 욕망을 최대한 발휘하고 경험할 수 있는 개성의 원형, 즉 멘탈체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멘탈체는 현상세계에서 자신의 특정한 신념체계 또는 특정한 경험을 일으킬 수 있는 청사진이 있는 곳이다. 여기까지 무의식적 영역이라고 부르자. 그 다음 특정한 경험을 위하여 시각적인 영상과 감정들을 끌어 모으게 되는 데 이것이 바로 아스트랄체이다. 즉, 아스트랄체는 현상세계에로 환생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 만약 우리가 집을 짓는다고 가정한다면 먼저 그 집의 설계도(개성 원형 또는 멘탈체)가 있어야 하고 그 다음 그 집을 짓기 위해서 자갈과 모래, 시멘트 등 여러 가지 재료들이 필요할 것이다. 아스트랄체는 바로 이와 같은 활동을 관장한다. 자각몽은 꿈과 아스트랄계를 탐구하고 그것을 조절하는 명상법이다. 쉽게 말하자면, 이 세계에서는 경험의 질료들을 수정하고 변경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멘탈체의 청사진도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벽돌집을 짓는 과정에서 나무집으로 경험의 질료들을 약간 수정할 수 있다. 만약 우리가 깨어있는 의식으로 이러한 것들을 통찰한다면, 의식의 진화를 위하여 많은 시간들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특정한 경험을 위하여 물질계까지 끌어오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잠재의식 영역이라고 부르자.
이 글의 1장과 2장은 자각몽이 경험되는 전반적인 이론모델과 그 의미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즉, 깨어있는 현재의식-안정된 배경층(무의식 배경층), 일반적으로 꿈을 지각하지 못하는 비자각몽과 꿈을 지각하고 기억할 수 있는 자각몽의 이론 모델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저자는 현재의식의 경향성과 꿈 속에서 경험되는 사건의 인과관계를 무의식 배경층 모델로 설명한다. 독자들은 위에서 설명한 원인체와 멘탈체의 개성 원형과 비교해가면서 살펴본다면 보다 더 쉽게 이를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3장에서는 자각몽이 시작되는 감각적 인격적 다양성과 감정적인 부분에 대한 다양한 경험담들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 글은 불교의 사념처 수행과 12연기법 같은 마음의 변이들을 명상하는 수행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만약 시간이 허락한다면 역자는 자각몽 기법를 사용하여 불교의 사념처 수행과 12연기법을 관련지어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할 계획이다.(역자 김현철 씀)
나는 내 블로그를 통해 명상이란 단어를 오용하고 있다고 생각해 왔는데 이 글을 통해 이에 대한 부담을 좀 덜어야 겠다. 선승(禪僧), 요기(요가 수행자) 혹은 조식(調息) 수행자 등 정도를 걷는 분들이 보면 사술[邪術]로 대중들을 미혹하게 한다는 비난을 받을지도 모르겠다.
Busienss Meditation, 마인드 컨트롤 등 기타 서양의 정신응용학에서 말하는 명상은 엄밀히 말해 명상이 아니다. 수행 단체 마다 나름대로 명상에 대해 정의한 바가 있겠지만 나는 명상, 행위가 아닌 상태로서의 명상을 이렇게 정의한다.
“명상은 완전한 수동적인 상태로서 나(ego)가 사라진, 즉 개체가 우주와 합일이 된 상태(物我一體)’를 의미한다.”
마인드 컨트롤과 같은 정신 응용기술들은 매우 능동적이고 적극적이다. 정신을 특수한 상태로 만든 다음 시각화(Visualization) 등을 통해 목표한 바를 이루려 하는 기술이다. 즉, 내가 없어지면 의미가 없는 술법들이다. 내(ego)가 존재함으로써 욕망, 바램, 희망 등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뇌파의 상태는 수행자들이 명상에 들 때와 같은 상태로 나타난다. 깨어 있는 의식은 베타 상태라 부르고 가벼운 수면 상태 혹은 비몽사몽의 상태에서는 알파파가 많이 나온다고 한다. 더 낮은 의식 상태은 쎄타 그리고 델타 상태라 구분해서 부른다.
종전의 마인드 콘트롤에서는 알파 상태를 이용했는데 요즘 이 분야 기술도 많이 발전했는지 – 직접 해보거나 검증을 해보지 않아서 모른다. – 쎄타나 델타 상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고 있다. 소위 Remote Viewing과 Remote Influencing, 즉 정신만으로 원격지의 사물을 찾거나 보고 현실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이다.
이런 정신 상태를 응용해서 현실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에서 말하는 명상은 엄밀한 의미의 명상이 아니다. 물론 이런 작업 중에 명상 상태에 들어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신을 응용해서 현실을 개선하고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도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누구나 道人이 될 수는 없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