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서핑 용어] 세계의 층

각각의 유기체는 사념 에너지로써 가능태 공간의 특정 섹터를 실현시켜서 자기 세계의 층을 창조해낸다. 이 모든 세계의 층들이 서로 겹쳐서 하나를 이루므로, 각 유기체는 현실의 형성에 자기 몫의 기여를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은 자신의 세계관으로써 개인적인 세계의 층을 형성하는데, 그것은 독립된 별개의 현실이다. 이 현실은 그 사람의 태도에 따라 고유한 뉘앙스를 가지게 된다.비유적으로 표현하자면, 그곳에는 특정한 기상 조건이 설정된다. 즉, 햇빛 무부신 신선한 아침이 있는가 하면 흐리고 비오는 날씨도 있으며, 때로는사나운 태풍이 불 때도 있고 심지어는 자연재해가 일어나기도 한다.

 개인적 현실은 물질적인 방식과 비물질적인 형이상학적 방식 두 가지로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사람은 자신의 행동과 생각으로써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념체(thought form)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바로 이것이 사람들로 하여금 배부분의 시간을 골몰하게 만드는 물질적 문제들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트랜서핑은 문제의 형이상학적 측면만을 다룬다.

[트랜서핑 용어] 성공의 물결

당신에게 유리한 인생트랙들이 이어질 때 성공의 물결이 형성된다. 가능태 공간에는 이러한 금광맥을 포함하여 모든 가능성이 다 존재한다. 만약 이런 특별한 종류의 트랙들의 가장자리로 진입해서 성공을 붙잡는다면, 당신은 관성의 힘으로 다른 행복한 일들이 놓여 있는 새로운 트랙으로 미끄러져 들어갈수 있다. 하지만 첫 번째 성공 이후에 또다시 불운한 시기가 시작된다면 당신은 파괴적인 펜듈럼에 걸려든 것이며, 그것이 당신을 성공의 물결에서 벗어나게 한 것이다.

[트랜서핑 용어] 선택

트랜서핑은 목표를 달성하기위한 새로운 원칙과 방법을 제시한다. 어떻게 목표를 달성할지를 걱정하지 않고 마치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것처럼 그저 선택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목표가 주문자의 직접적인 행동과 무관하게 스스로 실현되는 것이다. 당신의 희망은 이루어지지 않고, 꿈은 실현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당신의 선택은 불변의 법칙이며 그것은 필연적으로 실현될 것이다. 선택의 본질을 한두 마디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트랜서핑은 선택이란 무엇인지, 그러한 선택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뿐이다.

[트랜서핑 용어] 균형력

잉여 포텐셜이 있는 곳은 그것을 제거하기 위해 균형력이 발생한다. 어떤 대상에 지나친 중요성이 부여될 때 사람의 사념 에너지에 의해 잉여 포텐셜이 생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두 가지 상황을 비교해보자. 한 상황에서는, 당신은 자기 방의 바닥에 서 있고, 또 다른 상황에서는 어느 절벽 끝에 서 있다. 첫째 경우는 아무런 걱정이 없지만, 둘째의 경우에는 실제 상황이 당신에게 매우 중요해진다. 자칫하면 돌이킬 수 없는 일이 벌어질 것이니까. 에너지 차원에서는, 단순히 사람이 서 있다는 사실은 첫째와 둘째의 경우 양쪽에서 모두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절벽 끝에 서 있으면 두려움이 일어나 당신의 내부에 긴장이 일어난다. 그래서 당신은 에너지장에 불균형을 만들어낸다. 그런 불균형을 제거하기 위해 균형력이 생기는 것이다. 당신은 그 힘을 실제로 느낄 수 있다. 즉, 한편에서는 설명할 수 없는 어떤 힘이 당신을 절벽 아래로 끌어당기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어떤 다른 힘이 당신을 절벽 끝에서 벗어나게 하려고 잡아당기고 있는 것이다. 결국 두려움에 의한 잉여 포텐셜을 제거하기 위해, 균형력은 당신을 절벽 끝에서 멀어지도록 잡아당기거나, 혹은 당신을 절벽 아래로 떨어뜨려 그 상황을 종료시켜야 한다. 그러니까 당신이 절벽 끝에 서 있는 동안 느끼는 것은 이 균형력의 작용인 것이다. 대부분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바로 잉여 포텐셜을 제거하기 위한 균형력의 작용이다. 사람들은 종종 의도와는 완전히 반대되는 결과를 얻는데, 그만큼 이 힘은 교활한 것이다. 게다가 사람들은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전혀 이해하지도 못한다. 바로 여기서 ‘머피의 법칙’과 같은 설명할 수 없는 일종의 악의적인 힘이 작용하는 것처럼 느껴지게 되는 것이다.

출처: 트랜서핑의 비밀

[트랜서핑 용어] 가능태 흐름

 정보는 가능태 공간 속에서 매트릭스의 형태로 정적으로 보존되어 있다. 정보의 구조는 서로서로 연결된 사슬로 이루어져 있다. 원인-결과의 관계는 가능태 흐름을 생성한다. 불안한 마음은 펜듈럼의 흔들림을 끊임없이 느끼고, 상황을 완벽하게 통제하기 위해 모든 문제를 혼자서 해결하려고 애쓴다. 마음의 인위적인 결정은 대부분의 경우 물살을 거슬러 허우적대는 것과 같이 무의미한 것이다. 대부분의 문제, 특히 작은 문제들은 가능태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만 하면 저절로 해결된다.
 
 흐름에 저항하여 발버둥치지 말아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저항할 때 헛되이 또는 자신에게 불리하게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이다. 흐름은 최소 저항의 경로를 따라 흐르므로 문제를 푸는 가장 합리적인 해결책이 거기에 담겨 있다. 반대로 저항은 새로운 문제만 무수히 만들어 낸다.

 가능태 공간 속에 이미 해결책이 존재하므로 마음의 강력한 지성도 별로 쓸 데가 없다. 휩쓸려 들어가지 않고 흐름을 방해 하지도 않는다면 해결책이 스스로 나타날 것이고, 게다가 그것이야 말로 최적의 해결책인 것이다. 최적화는 이미 정보장의 구조 속에 내재해 있다. 가능태 공간 속에는 모든 것이 다 있지만, 가장 에너지 소모가 적은 가능태가 실현될 확률이 가장 높은 것이다. 자연은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는다.

출처: 트랜서핑의 비밀

 

[트랜서핑 용어] 가능태 공간의 섹터

 가능태 공간의 각각의 지점마다 어떤 특정 사건의 가능태가 존재한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가능태는 시나리오와 무대장치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자. 무대장치는 현실화가 일어나는 외적인 모습과 형태이고, 시나리오는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이다. 편의상 가능태 공간을 섹터로 나눌 수 있다. 각 섹터는 자신만의 시나리오와 무대장치를 지니고 있다. 섹터 간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시나리오와 무대장치의 차이가 커진다. 사람의 운명은 많은 가능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론적으로 가능태 공간은 무한하므로, 사람의 운명의 변화에도 아무런 한계가 없다.

출처: 트랜서핑의 비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