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의해서 장 대흠 | 7월 8, 2015 | Meditation, Personal Growth

명상메모_20150708
조금 전에 명상을 마쳤습니다.
마음을 옭죄고 있던 걸림 중 하나가 사라지니 명상 중 영혼(Spirit & Soul)의 느낌이 전 보다 더 명료해지네요.
부모, 형제, 가족 그밖에 모든 관계들, 이름, 나이, 지식, 경험, 감정 등 세상에 나온 이후로 나의 의식에 쌓여 있던 모든 것들이 사라지면 침묵 속의 어떤 존재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 존재와의 접촉이 명료하고 길어질수록 나의 의도는 저 우주의 어딘가에 전달이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우주(신이라 해도 좋고…)는 내 앞날에 일어날 일들의 순위를 조정하고 필요하면 만들어 가장 적은 에너지로 나의 바람이 실현 되도록 계획을 짭니다.
나를 도와주는 존재에 감사를 올립니다.
대흠.
(NOTE: Some of the findings presented in this talk have been referenced in an ongoing debate among social scientists about robustness and reproducibility. Read "Corrections & Updates" below for more details as well as Amy Cuddy's response.) Body language affects how others see us, but it may also change how we see ourselves.
에 의해서 장 대흠 | 6월 20, 2015 | Personal Growth
새벽에 잠깨어 직관가 소니아 쇼켓(Sonia Choquette)이 보내온 밀린 뉴스레터를 읽다가 그 안에 삽입된 테드 동영상을 봤는데… “음~ 대충 그런 내용이군. 공부 많이한 똑똑한 여자네. 말도 참 잘하는군.” 하고 브라우저의 다른 탭을 열어 딴짓(?)을 하다가 동영상이 끝날 무렵 돌아와 보니 감동적인 얘기가 펼쳐지고 있었습니다.
자신이 혹은 주변에 자신감이 부족하여 고민하는 누군가가 있으면 시청을 권해도 좋을 것입니다. 20분 투자할 가치가 충분합니다
대흠.
신체 언어의 효과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보는가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때로 그것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회심리학자인 에이미 커디는 “힘준 자세”— 심지어 자신감을 잃었을 때도 자신감을 갖고 똑바로 서는 자세—가 어떻게 뇌안의 테스토스테론과 코티졸 수준에 영향을 주고, 심지어 사람들이 성공할 가능성에까지 영향을 주게 되는지를 설명한다.
신체 언어의 효과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보는가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때로 그것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회심리학자인 에이미 커디는 “힘준 자세”– 심지어 자심감을 잃었을 때도 자신감을 갖고 똑바로 서는 자세–가 어떻게 뇌안의 테스토스테론과 코티졸 수준에 영향을 주고, 심지어 사람들이 성공할 가능성에까지 영향을 주게 되는지를 설명한다.
에 의해서 장 대흠 | 5월 31, 2015 | Personal Growth
다음주 목요일 9 am-11 am
성공하기 위해 애를 쓰거나, 나 혹은 경쟁자, 불안감, 두려움, 조급함 등등과 다툼을 하게 되는데 모든 성공 코치들이 입을 모아 하는 말. 초연하라(detachment). 그렇다고 그냥 구경만 하고 있으란 건 아닙니다. 깨어서 나를, 상황을 지켜보며 행동하라는 얘깁니다. 노자가 말하는 爲無爲, 홍익학당 윤홍식 대표가 말하는 ‘몰라~ 괜찮아! 비틀즈의 ‘Let it be 그냥 놔둬’… 모두 같은 말입니다. 근데 이게 말처럼 쉽지 않죠. 부단히 깨어서 자신을 갈고 닦아야 합니다. 물론 이렇게 쉽게 말하는 저도 예외는 아니고요. 🙂
웹세미나에서 다룰 내용은,
- 삶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스트레스와 다툼을 줄이면서 당신의 소망을 실현시켜줄 7가지 영적인 법칙을 사용하는 법을 소개합니다.
- 당신의 최고의 자아와 조화를 이루는 가치있는 목표를 세우고 그것들이 쉽게 현실로 나타나는 것을 지켜볼 수 있습니다.
- 불확실성과 실패 속에서 쉽게 익힐 수 있는 기술을 통해 삶에서 만나는 장애를 다루는 법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http://www.chopra.com/webinar-success-without-struggle-invi…

에 의해서 장 대흠 | 5월 18, 2015 | Personal Growth, 홍익학당
성공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의도(Intention)를 내고 나아갈 때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일까요?
저도 생활 속에서 그 길을 가고 있는 중입니다만, 제 경험으로 볼 때 감정을 잘 다루는 것이 제일 중요한 것중의 하나라고 봅니다. 감정이라 함은 짜증부터 시작해서 분노 그리고 근심에서 두려움, 감정이 지나치게 업(up)이 되어 상황 판단을 못하게 되는 흥분 상태 등등…
홍익학당 윤홍식 대표가 최근 고통이란 놈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페이스북에 3분짜리 동영상 강의 시리즈로 올리고 있습니다. 제가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는 자기계발(Personal Growth) 분야의 가르침들과도 일치하고 말 잘하는 윤홍식 대표답게 아주 설득력이 있습니다. 부디 여러분들의 고를 양심으로 잘 다루고 갚아나가는 마스터가 되시길 바랍니다.
대흠.
인생이 고통스런 이유_2분 [고통시리즈01]
‘하늘은 감당할만한 고통을 주신다’ 고를 갚아 나가야 한다는 그 전제로 양심을 얘기합니다. 욕심이나 욕망이 아니라 양심만이 고통을 감해 나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른 표현으로는 업장을 해소하는 방법이라 할 수도 있겠습니다. 특별한 수행 방법보다 각자가 자신에게 닥친 고를 열심히, 양심적으로 해결해 가면 된다고 합니다.
동영상 Hong Ik Academy on Tuesday, May 12, 2015
고통 일정량의 법칙_3분 [고통시리즈 02]
누구나 태어날 때 일정량의 고와 행복을 가지고 태어났다. 고로 늘 행복하기만을 바라지 않아야 한다. 사람은 부처나 예수가 아닌 다음에야 누구나 과거의 업, 즉 갚아야할 빚을 가지고 태어난다. 이번 생에 그 빚을 다 갚으려 하기 보다는 이 생에 갚아야할 빚만 생각하자. 그것이 주어진 일정량의 고통이다. 이러한 일은 음양의 진동에 따라 에고의 뜻대로 되기도 하고 어긋나기도 하면서 고통이나 행복감이 번갈아 찾아 오는데 여기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초연하게 받아 들이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얘기를 합니다.
동영상 Hong Ik Academy on Wednesday, May 13, 2015
고통에 대처하는 자세_3분 [고통시리즈 03]
고를 푸는 방법은 우주로부터 받게 되는데 이것이 에고를 만족시키는 방법은 아니란 걸 알아야 한다. 그러나 양심을 통한 해결이 결국에는 에고의 공감도 얻어 내게 될 것이다. 결국 갚아야 할 고를 갚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
몰라! 괜찮아” 방법을 사용하기를 권하고 있습니다. 이는 서양의 personal growth 분야의 가르침(teaching)과 정확히 일치하는 말입니다. 고를 해결하려 애쓰지 말고 무심(detachment)하게 바라볼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여유가 생기고 영성과 지혜가 깊어진다고 합니다.
에 의해서 장 대흠 | 4월 26, 2015 | Personal Growth
오랜만에 올리는 글이네요.
밥 프록터(Bob Proctor)는 본고장 미국에서는 자기계발(Personal Growth) 분야의 원로로 대접을 받는 인물인데 개인적으로 썩 좋아하거나 따르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아래 비디오와 글 내용은 제 마음에 착 감기더군요. 최근 제가 겪고 있는 상황과 시절 인연이 있는 것 같습니다. 🙂
두려움은 에너지가 많이 충전된 감정이라 합니다.(당연히 부정적인 에너지겠죠.) 그렇기 때문에 삶에 미치는 영향력이 당연히 클 것입니다. 오랜 시간 어떤 두려움에 사로 잡혀 있으면 그 두려움을 느끼는 상황이 현실화될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합니다. 살다보면 이러저런 두려움들이 마음에 방문을 합니다. 그럴 때 아래 번역한 밥 프록터의 글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대흠.
For more visit our website: http://goo.gl/kYTfZp ** Bob Proctor explains the effects fear has on the mind, how it controls behavior, and how to move throug…
당신은 약을 먹거나 버튼 한번 누름으로써 인생에서 두려움을 없애버릴 수 없습니다. 누구나 어떤 부분에 있어서 두려움을 갖고 삽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두려움이 당신을 조종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그것은 두려움이 하고 있는 것을 뜻합니다. 당신이 비행을 하거나 사업을 시작하는 데 두려움이 있는지, 두려움은 당신의 감정과 행동을 조종하면서 그로인한 결과도 만들어 내게 되죠. 한편 당신의 인생은 위축이 됩니다.
정말로 당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는데 방해를 하는 것은 두려움이 아닙니다. 그것은 무지에서 나오는 생각입니다.
당신이 하고 싶은 새로운 사업을 하기 위한 돈이 어디서 오는지 당신을 모릅니다. 그래서 계속 시작을 주저하며 시간을 끄는 것이죠. 당신은 출판 산업에 대해 잘 모릅니다. 그래서 책 쓰기를 두려워 하는 것이죠.
당신은 새로운 생각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들이 어디서 오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행동에 나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무지는 파괴적인 정신적 프로세스가 일어나도록 합니다. 당신은 몹시 불편해져서 그 상황의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게 됩니다. 그 결과 삶의 부정적인 면에 주파수를 맞추게 됩니다. 그러한 생각들은 당신이 목표를 향해 계속 움직여 올라가는 것을 방해 합니다.
그렇다면 당신이 해야 하는 일은 무엇일까요?
두려움을 안전하게 가지고 놀려고 하지 말고 당신이 두려워 하는 것과 대면을 하십시오. 그 두려움을 연구하십시오. 그것에 관해 글을 쓰십시오. 멘토와 두려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 보십시오. 두려움을 이해하기 시작할 때까지 무엇이든 하십시오.
이해는 당신이 성장과 자유 속으로 걸어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 줍니다. 그래도 여전히 당신은 의심하고 두려워 하고 불안해 할 것 입니다. 그러나 당신은 두려움에 대해 연구를 해왔기 때문에 지속적인 노력을 한다면 두려움은 떠나갈 것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
두려움이 있을지라도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당신이 원하는 것에 대해 생각을 집중하고 행동을 함으로써 당신을 둘러싸고 있는 조건에 변화가 일어나고 당신은 완전히 새로운 세상에 살게 될 것입니다.
산드라 갤러거란 이름을 가진 나의 비지니스 파트너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두려움(Fear)과 성장(Growth)은 손을 맞잡고 간다. 당신이 두려워 하는 것을 용기를 가지고 직시하면 당신은 자동적으로 당신이 찾고 있던 성장을 경험할 것입니다.”
나는 거기에 더 보탤 말이 없습니다.
두려움이 당신 삶의 또다른 순간을 제한하도록 놔두지 마십시오. 안전하게 뒤로 물러나기 보다는 당신의 자유를 향해서 앞으로 나아가십시오.
당신의 성공을 기원합니다.
밥 프록터 (Bob Proctor)
프록터 갤러거 연구소 회장 & 공동 창업자
원본: http://www.proctorgallagherinstitute.com/5944/how-to-eliminate-fear
밥 프록터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시크릿의 실제 주인공이며 지난 40년 동안 집필과 컨설팅, 사업가이자 긍적적 사고와 동기부여, 인간잠재력의 극대화를 가르치는 국제적인 강연가이다. 그는 나폴레온 힐, 얼 나이팅게일, 월러스 워틀스 같은 동기부여 대가의 뒤를 따랐다. 그러나 밥 프록터는 이 위대한 스승들의 가르침을 한 단계 발전시켜 사람들이 인생의 목표를 세우고 성취하도록 자신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노하우를 전 세계 수백 곳의 회사들 그리고 세미나를 통해 나이를 불문하고 각계 각층에서 온 수천 명의 개인에게 자신의 특별한 메시지와 지식을 전했다. 밥 프록터의 연설과 강좌는 청중의 삶을 바꾸어 놓을 정보와 영감과 지혜로 가득 차 있다.
출처: 교보문고 작가검색
|
에 의해서 장 대흠 | 4월 18, 2015 | Personal Growth
이소룡의 딸이 운영하는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가져왔습니다. 여기에 올라오는 그가 생전에 한 말들을 보면, 그는 무술인을 넘어서 철학자이고 자기계발 코치임을 알 수 있습니다.
주말을 맞아 보내온 오늘 이야기 역시 그렇네요. 주변 환경이 힘들다고 손을 놓고 있지 말고 그건 그것대로 두고 자신의 목표를 향해 가자는 이야기인데 공감이 갑니다.

출처: https://www.facebook.com/BruceLee
“환경이 어떻든간에, 나는 기회를 창조한다.” 장애물은 항상 있습니다. 당신 자신을 신뢰하십시오! 멋진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To hell with circumstances, I create opportunities.” There are always obstacles, but if you believe in yourself… Have a great week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