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Silva Method라는 마인드콘트롤 기초과정 강의중에선가 호세 실바 박사의 어느 책에선가 아인쉬타인의 가상 실험실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꿈꾸는 사람님 블로그에서 이걸 접하게 되니 기쁩니다.
이야기를 대충 기억나는대로 적어보면,
하루는 아인쉬타인이 길을 가는데 그의 동료가 물었습니다.
“자네 지금 어디 가나?”
아인슈타인이 답하길 “내 연구소로 가는 중이네.”
동료가 “자네 연구소는 반대쪽 아닌가?”
그는 자신의 상상 속의 연구소를 가던 중이었다고 합니다.
상상력을 소원 성취하기 위한 조건이라 하셨는데 제가 배운 바로는 두 가지가 더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세가지 기술 혹은 조건이 갖추어져야 합니다.
첫번째는 알파 상태에서 잠들지 않고 깨어 있는 훈련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마인드 콘트롤에서는 잠재의식에 프로그래밍을 한다고 하는데 깨어 있을 때의 뇌파, 베타 상태에서는
의식과 잠재의식 사이에 층이 두텁고 딱딱해서 주문이 들어가질 않는다고 합니다.
비몽사몽 같은 알파 상태일 때 그 층이 말랑말랑해지거나 혹은 얇아집니다.
사람이 변화를 하기 위해서는 잠재의식이든 의식이든 심층에서 변화를 줘야 하는데
보통 사람들에게 있어서 진정한 변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이유 중 하나일 겁니다.
두번째는 시각화(Visualization), 바로 언급하신 상상력입니다.
잠재의식과 소통하기 위한 가장 좋은 수단은 말보다도 이미지라고 합니다.
원하는 상황을 생생하게, 창조걱으로 재미있게 마음 속으로 그리면 잠재의식에 프로그램이 된다 합니다.
세번째는 목표에 대한 열망, 기대 그리고 믿음입니다.
이렇게 되면 나머지는 잠재의식이 다 알아서 해준다고 합니다.
저를 비롯해 이걸 사람들이 잘 믿지 않는데 그건 신념 체계가 형성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설사 원하는 바를 이룬다고 해도 사람들은 잘 믿질 읺죠. 저 역시 아직까지는 그렇습니다.^^
우연의 일치겠거니 합니다.
그러나 이 우연의 일치가 반복이 되면서 그게 우연이 아니구나란 믿음이 생깁니다.
비로소 신념 체계가 강해집니다.
그 다음은 아마도 눈덩이 불어나듯 신념이 강화될 것입니다.
단, 이 기술의 사용 조건은,
남을 해치는데 사용해서는 안되고 그럴 수도 없다고 합니다.
내 자신의 행복을 위해 사용하고 나로 부터 넘치는 행복은
이웃 나아가서는 인류의 평화를 위해 사용하라고 합니다.
대흠.
- 인간 본질의 구성 요소와 선정 - 2014/08/31
- 트리비움(Trivium): 지식을 통해 지혜로 가는 길 - 2014/04/07
- 엄청난 인기를 누렸던 블로그 글 - 2014/03/30
조언 감사합니다. “생각, 꿈, 믿음, 말(꿈이 이루어진다는 믿음을 말로써 선포)”…이로써 저의 꿈과 비전을 실현해 나가고자 합니다.
원하시는 목표 성취하시길 기원합니다.
요즘 저는 마인드콘트롤을 같이 수련할 친구들을 찾고 있습니다. 혼자할 때보다 여럿이 하면 더 잘 되고 재미난 실험(식물 감응등)도 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프라인에서도 가능하나 비디오 채팅이나 컨퍼런싱 도구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댓글 달아주십시오.
안녕하세요? 저도 마인드콘트롤에 관심이 있습니다.
사실 건강이 안 좋아서 몇 번 해보다 말았는데, 앞으로 좀 괜찮아 질 듯 해서,
기회가 된다면 같이 해보고 싶습니다.. ^^
(당장은 좀 힘들 것 같고, 아마 3월 이후에나 가능할 것도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3월 이후에 준비가 되시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저도 개인적으로 준비를 하겠습니다. 건강하시길 빕니다.
항상 좋은글 잘 읽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