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듈럼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1. 놀라운 것은, 인간의 무의식적인 행동동기를 만들어내는 힘이 사람의 마음 안에 있지 않고 외부에 있다는 점이다. 그 힘은 보이지는 않지만 실재하는 에너지-정보적 실체, 즉 살아 있는 존재들의 사념 에너지로부터 태어나는 펜듈럼이다.

 

2. 어떤 집단의 생각이 한 방향으로 초점 맞추어지고, 그 결과로 각자의 사념 에너지의 매개변수가 동일해질 때 하나의 구조체가 생겨난다. 독자적 에너지체인 ‘에너지 펜듈럼’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3. 펜듈럼은 독자적인 생애를 시작하고, 그 창조에 참여한 사람들을 자신의 법칙에 복종시킨다. 펜듈럼은 자신의 진동수에 동조하는 지지자를 계속 끌어 모아서 그들로부터 더 많은 에너지를 뽑아내고, 그 힘으로 더욱 더 강력하게 진동한다. 펜듈럼은 단지 양극성을 에너지장의 불균형으로 감지하고, 거기에 거머리처럼 달라붙어 에너지를 빨아먹으려 할 뿐이다.

 

4. 우리는 특정 펜듈럼에 깊이 속박되어 있을수록 더 많은 갈등과 혼란, 반목과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지금 당신이 믿고 있는 모든 가치는 무수한 펜듈럼들로부터 강요된 것이다.

 

5. 펜듈럼은 인간의 잠재의식에만 접근해도 충분히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다. 대체로 모든 사람은 각자의 수준에서 눈 뜬채로 잠들어 있다. 집에 있을 때는 높은 수준의 자기통제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은 이완되어 있고 거의 잠들어 있다. 오히려 집밖의, 인간관계라는 좁은 범위 안에서만 의식이 가장 활동적이고 자기통제적인 상태에 있다. 큰 단체에서는 사람의 행동이 다시 제멋대로 되기 쉽고, 그뿐 아니라 대중의 충동적인 힘에 휘말려들기 쉽다.

 

(V.Z.)

 

**

 

[적용/연습]

 

ㅇ여기서 말하는 펜듈럼은 손에 쥐고 질문하면 답을 알려주는 물리적 도구로서의 펜듈럼이 아닌 에너지적 펜듈럼이다. 부정적인 개념이다. 인간의 에너지를 빨아먹는 괴물. 지치고 탈진하게 만드는 원흉이다. 나쁜 에너지만 가져가는게 아니다. 흥분하고 열광하고 환호하는 것은 나쁘지 않다. 하지만 펜듈럼 관점에서 보면 사람을 ‘들었다 놨다’하면서 결국 기운을 뺀다. 연극이 끝난 후의 공허감, 붉은악마와 함께 한 월드컵이 지나간 후의 공허감, 새로운 인생이 펼쳐지리란 기대로 들어간 대학 첫 학기가 지날 무렵의 공허감, 허니문이 지난 후의 따분함…그러고나면 다시 그것에서 벗어나려고 결심하고 각오하고 애쓰는 에너지의 반복된 굴레 속에서 우리는 펜듈럼을 발견할 필요가 있다. 연예계를 들여다보면 더 쉽게 펜듈럼을 찾을 수 있다. 팬이든 안티팬이든 상관없다. 그들이 환호하든 비난하든 그 에너지는 펜듈럼을 지속시킨다. 다시 각자의 삶으로 돌아와서 점검해보자. 지구인이라면 특히 문명이 발달한 도시의 시민이라면 누구든 펜듈럼에서 완전히 자유할 수 없다. 펜듈럼의 존재를 알아차리기만 해도 성공한거다.

 

▶ 당신의 의식이 잠들기 쉬운 환경을 찾아내고 그것을 통제할 방안을 마련해보라.

– 펜듈럼이 깨어있는 의식에 접근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잠재의식에 침투하기만 해도 펜듈럼은 작동한다. 그렇다면 우리 편에서는 가능한 깨어있어야 하며 적어도 잠든 상태는 면해야 한다. 과도한 이완상태는 의식의 수면상태와 유사하다. 다시말해 약간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당신의 일상을 점검해보라. 집 안에서와 집 바깥-회사, 종교활동, 취미생활 등-에서의 각성의 차이를 비교해보라. 상대적으로 잠들어 있는 환경을 각성시킬 방안을 생각해보라. 그저 마음먹기 보다는 가급적 외적인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3인 이상 소그룹 형태의 인적네트워크를 형성해도 좋다. (혼자 책읽기보다 독서모임이, 집에서 다운받아 보는 영화보다 극장에서 보는 영화가 각성수준이 높아진다.) 

출처: pixbay.com

출처: pixbay.com

(Dustin)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